정의 내리기의 한계와 이득
1.
그렇지만 현재 통용되는 다양한 정의들을 정리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인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수학자인 노버트 위너느 사이버네틱스는 생명체와 기계에 있어서 규제와 정보전달에 관한 학문이락 ㅗ적고 있고 기업과 경영 컨설턴터인 스태포드 비어는 사이버네틱스를 조직의 학문으로 정의하며 신경철학자인 워런 맥컬럭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지식의 산출을 다루는 인식이론이라고 얘기합니다. 미국 사어버네틱스 학회의 선언에서는 '사이버네틱스는 사실들의 수집이 아니라 사유의 방식이다'라고 적혀 있습니다. 그리고 고든 패스크는 좀 더 일반화해서 '그것은 예술 혹은 철학이고 삶의 방식이다'라고 적고 있습니다.
규정을 하려는 그러한 시도들 속에서 아주 멋진 무지개가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고 먼저 저의 기쁨을 표현하고 싶습니다. 이것들은 접근방법의 다양성을 허용해주는 것입니다. 가능한 것의 폭과 느슨함이 멋진 자극이 됩니다. 여기서는 각자가 자신에게 고유한 방식으로 드러내는 어떤 입장이나 태도가 문제입니다. 이게 사이버네틱스의 매력입니다. 몇몇 사람들에게 하나의 정의를 요구하는데 사어버네틱스에 대해서 알게 되는 바는 별로 없고 대신 정의를 내리는 사람에 대해서, 그의 전공분야에 대해서, 그가 세상과 어떻게 관련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은유를 즐기는 모습에 대해서, 경영에 대한 그의 찬사에 대해서, 커뮤니케이션이론 혹은 정보이론에 대한 그의 관심에 대해서는 많은 것을 알게 됩니다. 이렇게 저의 친구들인 스테포드 비어, 워런 맥컬럭, 노버트 위너, 고든 패스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게 됩니다. 멋진 일이지요. (발명품 166)
2.
하지만 당신도 아시겠지요? 우리가 인상파에 대해 이야기할 때 놀라운 일은, 그 모든 화가들에 대해 생각하자마자 그들이 얼마나 서로 다른지를 알아차릴 수 밖에 없다는 사실입니다. 정의를 내리는 데 신중해야 합니다. 위대한 화가는 결코 하나의 범주로 환원될 수 없습니다. 우리는 이렇게 말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이러한 화가들은 인상파이고, 다른 사람들은 표현주의자들이며, 그리고 또 다른 화가들은 입체파라고. 그러나 우리는 근본적으로 아무 말도 안 한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렇게 말함으로써 당신은 그림 그 자체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려주지 않는 어떤 양식을 단지 자기 동일시하고 있을 따름입니다.
(화가의 잔인한 손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