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가령 주사위를 들고서 모서리와 평면을 관찰해 보세요. 주사위라는 상수(변하지 않는 모습)를 산출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할까요? 대답은 '움직임(운동)과 그 때 생겨나는 관점에 따른 시야의 변화를 통해서' 입니다. 고개를 좌우로 움직임으로써, 손으로 주사위를 돌림으로써 운동근육의 활동과 감각적 활동 간의 새로운 연관성이 생겨나고 그때 신경체계는 변하지 않는 것을 산출해내게 되는 겁니다. 중요한 점인데 이때 신경체제가 뭔가를 산출해내는 과정에서 어떤 능력이 문제가 됩니다. 우리가 예를 들어, 주사위와 같은 어떤 대상에 붙인 이름은 근본적으로 보면 우리 신경체계의 능력이고 이 능력이 있음으로 해서 변하지 않는 뭔가를 산출해낼 수 있습니다. 대상과 우리가 습관적으로 객체라고 이름 붙이는 것은 자세히 보면 변하지 않는 뭔가를 산출해내는 우리의 능력을 상징하는 것에 다름 아닙니다. (발명품 28)
2.
어떤 대상에 붙인 이름은 근본적으로 보면 우리 신경체계의 능력이고
이 능력이 있음으로 해서 변하지 않는 뭔가를 산출해낼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