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그러면 수행이란 무엇인가? 화가 왜 일어났는냐를 연구하는 겁니다. '애가 저런다고 내가 왜 화가 날까? 이것을 돌이켜보는 거지요. 그래서 화가 나지 않게 되는 것이 수행입니다. 화를 안 내는 게 수행이 아니고, 화가 나지 않는 것이 수행입니다. 화가 나지 않으니까 참을 게 없지요.
화가 나거나 화를 낼 때, 그 화가 왜 일어나는지 돌이켜보는 것을 수행이라고 합니다. 돌이켜보면 어느덧 사라지지요. 그런데 대부분은 수행을 어떻게 합니까? 화를 낼까 말까? 참을까 말까? 이걸 갖고 수행이 됐느냐, 안 됐느냐 평합니다., 화를 내면 내어서 부작용이 있고, 참으면 참아서 고통이 있습니다. 그래서 고통으로 벗어나는 해탈로 가지 못합니다. 이 화가, 이 고통이 왜 일어나는지 그 본질을 봐야 합니다. 우리가 수행한다는 것은 그게 핵심입니다. (답답하면 94)
2.
화를 내면 내어서 부작용이 있고, 참으면 참아서 고통이 있는, 이 양극에서 중도를 발견하는 것이 수행. 부작용과 고통에서 벗어나는 해탈.
'명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 생각을 고집하지 않는다의 의미 (0) | 2020.09.16 |
---|---|
지시명령적 상호작용의 불가능 (0) | 2020.09.15 |
존중은 끝이 없다/ 다르다를 앎 (0) | 2020.09.13 |
명상하기 [이무소득고] (0) | 2020.09.08 |
명상하기 [일체유심조] (0) | 2020.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