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요하네스 뮐러가 무엇을 관찰했나요?
여러 가지 감각의 신경들은 항상 그에 상응하는 느낌들, 예를 들어 빛, 소리, 압력 등을 불러일으키는데 그는 이러한 일이[오온] 그런 느낌을 초래하는 자극의 물리적 속성과는 무관하게 진행된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공]
우리 감각이 원래 그대로의 실재를 반영하지 않는다고요?
그래요.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우리는 결코 알 수 없습니다.[오직 모를 뿐] 우리가 아는 것이라고는 자극을 받은 우리의 감각이 우리 앞에 펼쳐내 보이는 것뿐입니다.[일체유심조]
인식의 입구에서 (인식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소위 세계의 심부름꾼들은 (세계의 다양한 모습들은) 그들 자신의 특별한 속성들을 없애 버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연관하여 오늘날은 자극의 무차별적 부호화가 얘기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자극 혹은 교란이 있다는 것만 알 뿐입니다. 이게 신경세포가 알려주는 전부입니다. 그러나 교란의 원인은 불분명하고 그 원인은 특수하게 부호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시신경섬유를 식초로 자극할 경우 우리는 색이 있는 빛을 지각하게 됩니다. 혹은 미각을 느끼는 혀의 돌기를 몇 볼트의 전극봉으로 자극할 경우 우리는 식초 맛을 느끼게 됩니다. 생리학 교재에서 볼 수 있는 이러한 관찰을 통해 볼 때 외부세계가 내부세계에 베껴진다고 말하는 것은 우스꽝스럽고도 말이 되지 않는 얘기라 할 것입니다. 식초가 색의 흔적이 되고 전기가 식초가 되는 겁니다!
(진리는 거짓말쟁이의 발명품이다 p20)
T.
<반야심경>은 오온개공을 정확히 이해했을 때(조견오온개공), 일체의 괴로움을 건넜다고 말한다. 삶에서 정작 중요한 것은 앎의 앎이다. 도일체고액! 괴로움을 건너 오직 기쁨만이 충만한 신체. 지금 여기서.
괴로움을 건너 지속 가능한 행복, 지복.
'instargr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상처럼 보기[금강경사구게] (0) | 2022.07.02 |
---|---|
금강경 사구게에 관한 나의 이해 (0) | 2022.07.01 |
여래를, 본다는 것에 관하여[금강경사구게] (0) | 2022.06.30 |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제2의 화살을 맞지말라. (0) | 2022.06.30 |
내 마음의 신호등 [괴로움] (0) | 2022.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