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내가 보는 것이 외부의 실재를 반영한다는 생각과 거꾸로 내가 보는 것이 내가 보는 상을 보는 것임을 진실로 받아들일 때, 내가 본다는 문제는 내 안에서, 내재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다는 것은 궁극적으로 나에게 책임이 있다.
2.
"어머니는 내가 세계에 대한 나 자신의 이해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가르쳤고 자기 자신에 대한 신뢰를 갖도록 가르쳤습니다."
3.
생물물리학자인 하인쯔 폰 푀르스테르는 미국 인공지능 학회에서 다음과 같이 연설한 적이 있습니다. "객관성이란, 관찰하기가 주체 없이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생각하는 주체의 망상이다. 객관성에 호소하는 것은 책임을 방기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것이 인기가 있는 것이다."
'instargr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지점프 (0) | 2022.04.24 |
---|---|
도덕경 환상처럼 본다 (0) | 2022.04.24 |
책임과 선택[구조적 정합성, 중도] (0) | 2022.04.22 |
좋음과 나쁨을 너머, 오직 기쁨만이 (0) | 2022.04.21 |
미워하지도 사랑하지도 않으면 통연히 명백하다. (0) | 2022.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