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여기에 첨언해 둘 것은 무유정법이다.이중보기의 관찰자 관점은 요컨대 흐름에 대한 분별인데 흐름과 분별은 환원되지 않으며 교차하지 않는다. 분별에 집착하지 않는 이유는 이미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도라는 도는 이미 도가 아니다. #도가도비상도]

신경체계의 폐쇄(성)와 관찰자의 외적 관점이라는 가정들은 내가 올바르게 이해한 것이라면, 관찰에 대한 두 가지 전망들의 구분을 함축합니다.

1.한편으로 관찰자들은 체계에 가해진 외적 충격을 서술하며, 자극과 대응, 투입과 산출, 원인과 결과 사이의 상호관계들을 구성합니다.

2. 다른 한편으로 체계는 그 자신의 특유한 방식으로 - 외적 영향들과 독립적으로 - 작동합니다.

그렇습니다. 생리학과 내적 체계 동학의 현상 영역은 환경 안에서의 행위 및 관찰 가능한 운동들의 영역과 교차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영역들은 그 각각으로 환원될 수 없으며, 그 영역들 중의 한 영역의 현상들이 다른 영역으로 유래할 수 없습니다.

예를 하나 들어줄 수 있나요?

나는 내가 한 체계의 내적인 작동 동학과 그 체계 전체의 상호작용 영역에서 일어나는 것 사이의 차이를 설명하고 싶을 때 계기 비행을 예로 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조종사들이 조종실에 앉아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비행기를 조종하는 것을 상상해 보세요. 그들은 외부 세계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도 없거니와 그럴 필요도 없습니다. 그들은 측정값들과 표시기들을 기초로 해서 행동하고, 수치들이 변하거나 또는 수치들의 특수한 조합들이 나타날 때 자신들의 계기들을 이용합니다. 그들은 적절한 수치들을 지정된 한계들 내에 유지하기 위하여 감각운동적 상호관계들을 설정합니다. 비행기가 착륙하면 비행기가 도착하는 것을 지켜보았던 친구들과 동료들이 나타나서는, 짙은 안개와 위험한 폭풍우 속에서 조종사들이 성공적이고 훌륭하게 착륙한 것에 대해 축하할지도 모릅니다. 조종사들은 당황해 하면서 묻습니다. "폭풍우라고? 안개라고? 무슨 말들을 하는 거야? 우리는 단지 우리의 계기들을 다루었을 뿐이라고!" 알다시피 비행기 외부에서 일어난 것은 비행기 안의 작동적인 동학과 관계가 없었으며, 아무런 의미가 없었던 것입니다.(있음에서 함으로 101)










'정답은 결정할 수 없는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시아문  (0) 2021.12.10
일체유심조의 연기  (0) 2021.12.09
인연  (0) 2021.12.07
오직 차이만이 있을 뿐  (0) 2021.12.07
관찰자와 언어  (0) 2021.12.07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