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nstargram

무아에서 화작으로

T1000.0 2023. 11. 29. 21:27

무아를, 앎으로
화작을, 앎의 앎으로

T.
#무아에서화작으로 #기관없는신체 #무아의논리 #앎의앎

1.
기관 없는 신체를 이룬다는 것은 바로 이런 것입니다. 탈기관화하는 것, 기관으로서 할당된 고정성을 벗어나 알로, 질료적 흐름으로 되돌아가는 것, 그것을 통해 다른 종류의 '기관'이나 현상으로 변형될 잠재적 능력을 확득하는 것. 기관 없는 신체가 '목표가 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지요. 그렇지만 나중에 보듯이 그것은 그 자체가 목표는 아닙니다. 탈기관화된 신체의 표면에 새로운 흐름이 지나가게 하는 것, 그 표면에서 어떤 새로운 일이 발생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관 없는 신체는 목표지만 또한 목표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진경, #노마디즘1, p434)

2.
무아는 목표지만 또한 목표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3.
"어느 날 내가 자전거 안장과 핸들을 집어다 아래위로 놓아서 황소의 머리를 만든다면 그것은 아주 멋진 일일 것이다. 그러나 내가 곧바로 해야 할 일은 이 황소 머리를 내다버리는 것이다. 길이든 수챗구멍이든 아무 데나 버리되 아주 버려야 한다. 그러면 청소부가 지나가다가 그것을 주워올리면서 이 황소 머리를 가지고 어쪄면 자전거 안장과 핸들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할 것이다. 그러고는 그것을 실행에 옮긴다. 이것은..... 멋진 일일 것이다."
(예술에 관한 피카소의 명상 p100)
#이름과모양에집착하지않는다

탈기관화된 신체의 표면(무아)에 새로운 흐름이 지나가게 하는 것, 이것은..... 믓찐 일일 것이다.
#화작




















'instargr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C의 불수자성수연성  (1) 2023.11.30
절대적 탈영토화  (1) 2023.11.30
무아의 논리  (1) 2023.11.29
결코 내가 아닙니다.  (1) 2023.11.28
감각의 밸브를 열어주는 차이의 반복, 다시 삶으로  (1) 2023.11.26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