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T.
[사랑은 단방향적입니다. 그리고 보답을 바라지 않고 타자의 정당성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자연스러운 사건으로 일어납니다.]
보답을 바라지 않고 베푸는 보시, 무주상보시는 바로 사랑이다. 인상 깊은 건 <금강경>에선 무엇보다 먼저 무주상보시를 이야기한다. 부처님이 강조한, 무엇보다 제일은 사랑인 것이다.
(육바라밀 중 첫번째가 왜 보시바라밀인지!)
* 경청은 사랑이며, 무주상보시다. 아무 보답을 바라지 않고 배푸는, 즉 마음을 다하여 들어주는 보시.
*경청을 수행 삼아 사랑[무주상보시]을 실천해보자.
[편견 없는 경청으로 지혜가 모습을 드러낸다]
1.
필요한 것은 감정들의 분석이 아니라,
각각의 특수한 감정을
특수한 상관적 영역에서의 작동으로 구성해주는
상관적 동학을 깨닫는 것입니다.
우리의 시각이나 이해를 속박하고 여과하거나 왜곡하지 않고,
반대로 우리의 지각적 개방성을 늘려줌으로써
우리를 편견들과 야망들, 또는 기대들에서 자유롭게 해 주는 유일한 감정이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사랑이라고 부르는 것이라고 내가 주장하는 곳이
바로 이 관계[상관적 영역의 동학]에서 입니다.
사랑은 언제 존재할까요?
우리는 다른 존재 또는 그 자신이 (자기 자신과 공존하면서 정당한 타자로 나타나는)상관적인 방식으로 행동하는 사람을 볼 때마다 그 사람 안에서 사랑의 행위를 본다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사랑이란 무엇일까요?
나는 우리가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사랑의 관념으로써 암시하는 것은
우리가 당연한 일로 수행해 내는 [댓가를 바라지 않고 당연히 해야할 일 처럼 수행해내는] 그러한 상관적 행위들의 영역이라고 주장하는 바입니다.
그 영역[무주상보시가 행해지는]을 통해, 우리 자신일 수 있었을 다른 존재가 우리와 공존하는 정당한 타자로서 출현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사랑의 상관적 영역 속에서 타자는 자신의 존재를 정당화하도록 요청받지도 요구받지도 않습니다. [가령 <위대한 개츠비>에서, 개츠비가 사랑한 데이지를 떠올려보면]
설령 의견이 안 맞는다 하더라도, 그/녀는 자신의 출현이 편견들이나 요구들에 의해 부정되지도 가려지지도 않은 채 보입니다.
따라서 그/녀가 받아들여지는냐 또는 부정되는냐는 '보기'의 행동이지 맹목의 행동이 아닙니다.
사랑은 다른 누군가에게 정당성을 부여해주는 의도된 행동이 아닙니다. [기브앤테이크가 아니다.]
사랑은 단방향적입니다. 그리고 보답을 바라지 않고 타자의 정당성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자연스러운 사건으로 일어납니다.(있음에서 함으로 191)

2.
[치료사들의] 지혜란, 편견 없이 경청할 수 있는, 그리고 '개방성과 무간섭'의 태도를 보여줄 수 있는 그들의 능력 속에서 모습을 드러낸다는 게 나의 주장입니다.
관계 속에서 자기를 표현하고자 하는 모든 것은
편견과 개인적 편애에 의해, 그리고 속임수 기술들이나 통제욕망들에 의해 왜곡되지 않고,
그것[자기가 표현하고자 하는 모든 것]이 드러나는 형태 속에서 지각됩니다.
이것을 해내기 위해서 우리는 최대한 경청해야 하며,
우리의 지각이 성급한 판단 때문에 맹목적으로 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또한 우리가 듣고 있는 것에 영향을 끼치는 감정들을 의식하고 있어야 합니다.
우리의 '귀 기울여 듣기'를 제한하지 않고 넓여 주는 유일한 감정이 바로 사랑입니다. (189)
3.
당신이 해변을 따라 산책을 하고 있다가 별안간, 한 아이가 파도 때문에 바다 속으로 휩쓸려 들어가는 것을 갑자기 발견했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 때 당신이 물속으로 달려 들어가 아이가 물에 빠져 죽지 않도록 구해낸다면, 당신은 사랑의 발로로 행동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당신이 그 아이를 불러서 그 아이를 꾸짖는다면, 그것은 사랑의 활동이 아닙니다. 당신은 그 아이가 느꼈을 두려움에 주목하지 않고 오직 당신 자신의 불안에 따라 행동한 것입니다. 그 순간 당신의 활동들을 지배한 감정은 당신 자신의 두려움입니다. 그 아이 나름의 적당한 지각에 기초해 취할 수 있는 행위는, 그 아이의 공포를 줄여주고 해변을 안전하게 돌아다니는 방법을 알려 주기 위해 그 아이를 달래주는 일일 것입니다.(320)
4.
당신은 당신 자신의 공포나 분노에 따라 반응하지 않고 그 아이의 특수한 상황에 대한 당신의 지각과 긍정적인 평가에 따라 반응할 것입니다.(196)
'앎의 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정과 업식 (0) | 2020.12.31 |
---|---|
직선적인 인과적 관계의 미신 (0) | 2020.12.30 |
강요받지 않는 설명 (0) | 2020.12.27 |
생명체계[자기생산]의 이해 (0) | 2020.12.27 |
자낳괴 (0) | 2020.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