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세상은 그냥 있는 그대로이다.
사실은 사실일 뿐이다.
또는 그것은 그것일 뿐이다.

사실을 어떻게 보는가? 사실을 저마다 다르게 본다는 것. 사실은 사실일 뿐, 옳게 보거나 그르게 볼 수 없다. 다만 다를 뿐. 누가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가? 여기서 옳고 그름보다 누가에 주목하자. 판단의 책임을 질 '누가'.

2.

그러면 가령 하나의 똑같은 대상을 기술하는 하나의 똑같은 진술만이 있는가 아니면 다만 그런 대상에 대한 다양한 표현법과 견해들과 관련이 되는가하는 질문이 제기됩니다. 

제 생각에 패러프레이즈(덧붙이는 말paraphrase, 해의) 조차도 같은 것을 기술하지 않습니다. 일리노이 대학에 근무했던 제 동료중의 한명이 거의 믿을 수 없는 실험을 했는데 그 실험은 어떻게 외관상 하나의 똑 같은 관찰이 말로 옮겨지는지, 그리고 그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보여줍니다. 그는 200명의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사건을 특징짓도록 부탁했습니다. 강의실을 가로질러 놓인 긴 끈 한쪽 끝에는 큰 공을 반대쪽 끝에는 작은 공을 묶었습니다. 그리고 그가 큰 공을 들고는 작은 공에 날아가 부딪히게 했습니다. 이게 일어난 일 전부였습니다. 그런데 남학생들은 대체로 큰 공이 작은 공을 건드려서 밀쳤다고 썼습니다. 그들은 공격을 지각한 것이지요. 반면 여학생들은 대부분 작은 공이 큰 공에 의해서 밀려났다고 관찰했고 그들은 그 일을 희생자의 관점에서 보고서 다른 해석을 냈던 것입니다. 두 가지 경우 모두에 그때그때의 관찰자 스스로가 자신의 기술에 반영된 것입니다. (발명품 159)

3.

사실에 대한 판단이 조삼모사일 경우.
시비에 대해 양행으로 대처한다.


4.

다름을 시비로 분별하지 않고 장단점을 챙긴다.
"시비에서 장단으로
"

세상은 옳고 그른 것이 없고 다만 다를 뿐이다. 인연을 따라 다름을 취한다. 장단점을 취한다. 장단점에는 옳고 그른 것이 없다.

5.

내 생각에, 장단점이라 함은, 스피노자의 좋음과 나쁨이다.

6.

나의 난제. "단점[나쁨]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이런 상황에서 어떤 이의 이런 태도가 맞지 않는다면 내버려두거나 문제제기를 하거나.
내버려두면 일이 더디고 문제제기를 하면 갈등이 생긴다. 나의 선택과 책임이 대처법인가? 단 선택시 어떤 스트레스도 없이 할 수 있으려면? 상대 역시 선택하고 책임지도록 유도함이 한 방법일 듯.


솜은 부드럽고 바늘은 날카롭다. 솜은 솜답게 쓰고 바늘은 바늘답게 써야 일이 잘 된다. 바늘 쓸 일에 솜을 쓴다면 일이 어렵다. 어렵게 할 것이 아니라 솜을 버리고 바늘을 구하는 게 중도. 사람도 매한가지일터.

솜의 속성은 어떤 인연을 만나느냐에 따라 장점도 되고 단점도 된다. 바늘 역시. 모든 것이 마찬가지. 그렇다면 그것은 그것일 뿐 장점도 단점도 아니다. 어떤 조건을 만나냐에 따라 장점이 되기도 단점이 되기도 한다.

장점만을 취하라.

구조적 결정론과 열쇠

'사구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행의 궁극 목표  (0) 2020.07.27
자기 운명의 주인  (0) 2020.07.27
흔들리는 건 마음  (0) 2020.07.13
고생은 없다  (0) 2020.06.24
표상  (0) 2020.06.14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