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나의 사구게

살생의 보살행

T1000.0 2021. 1. 12. 20:05


1.

옛날에는 호랑이가 마을로 내려와 사람을 물어 죽이는 일이 종종 있었다고 합니다. 부모가 호랑이에게 물려 죽었다면 그 자식은 원수를 갚을 작정으로 호랑이를 잡겠다고 나설 겁니다. 그렇게 분노와 적개심에 차서 호랑이를 죽인다면 그것은 살생이고 그때의 마음은 중생심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다시는 나 같은 불행을 당하는 사람이 없도록 살생의 죄업을 받겠다는 마음으로 호랑이를 죽인다면 그것은 중생심이 아닙니다. 그러한 행위는 한풀이도 복수도 세상을 외면하는 것도 아닌, 보살이 세상을 정토로 만들어가는 마음입니다.
만약 호랑이가 마을의 다른 사람을 물어 죽였다면 안타까운 마음은 들겠지만 남의 일이라고만 여기겠지요. 내심으로는 내 일이 아닌 게 다행이라는 마음도 들 겁니다. 하지만 호랑이가 내 부모를 죽였기 때문에 나는 그 고통이 얼마나 큰지 알게 되었고 남의 불행을 막으려는 보살행까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금강경 강의 273)

2.

결과적으로 이러한 존중의 태도가 우리로 하여금 언젠가-책임에 대한 완전한 자각을 가지고-총을 사용하자고 결정하도록해도 너무나 당연한 건가요?

물론입니다. 사람을은 <나의 투쟁>을 읽고, 이 책에서 히틀러가 자신의 의도와 목적을 매우 공개적으로 드러내고 있다는 것을 곧바로 깨달을 수 있습니다. 그런 뒤에 그들은 자신들이 거기에 기술된 세계와 자신들 앞에 제시된 강령을 정말로 원하는지 결정해야만 할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의 실재들에 대한 존중만이 우리로 하여금 그들을 올바르게 평가하고 주의 깊은 행위들을 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줍니다. 우리는 무언가를 결정하기 위해 그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기 때문입니다. 자신들의 적들에 관용을 배푸는 사람들은 그들을 똑바로 보지 못합니다. 그들 자신의 믿음이 그들의 지각을 흐리게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적들을 존중하게 되면 그들을 이해하는 것이, 그리고 필요하다면 그들에게 맞서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있음에서 함으로> p77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