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그러므로 완전과 불완전은 실제로 사유의 양태에 지나지 않는다. 즉 우리가 동일한 종種 또는 유類에 속하는 개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습관적으로 지어내는 개념일 뿐이다. 이러한 이유로 나는 앞에서 (제2부 정의 6) 실재성과 완전성을 동일한 것으로 이해한다고 말하였다. (스피노자, <에티카> 4부 서론)
T.
다시 말해서 모든 것은 공하다. 완전과 불완전의 분별은 실제로 사유의 양태에 지나지 않는다. 생각일 뿐이다. 즉 우리가 동일한 종種 또는 유類에 속하는 개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습관적으로 지어내는 개념일 뿐이다. 이러한 이유로 실재성과 완전성을 동일한 것으로 이해한다는 즉슨 요컨대 색즉시공. 색의 실재성과 공의 완전성은 동일하다고 이해한다.
'전도몽상의 지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나를 사랑하는 방식 (0) | 2021.12.02 |
---|---|
화작과 욕망 (0) | 2021.11.30 |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0) | 2021.11.25 |
시무등등주, 절대적 탈영토화 (0) | 2021.11.23 |
연기緣起는 사건이다. (0) | 2021.1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