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남의 흉이 내 눈에 보이는 이유
피아노나 기타와 같은 악기를 연주하다 보면 가끔 재미있는 현상을 목격할 때가 있다. 피아노의 어떤 건반을 누르고 나서 그 피아노 소리와 비슷한 음정을 사람 목소리로 내고 있으면 건반에서 손을 떼어도 피아노의 현이 계속해서 울리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비슷한 예로 기타를 마주 보면서 둘이 연주하다가 한 기타의 연주를 멈춘 상태에서 맞은 편 기타의 기타줄 5개 중 하나를 세게 치면 맞으편 기타의 똑같은 줄이 진동하면서 울리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과학자들은 공명共鳴이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 '같이 울리는 현상'이라는 뜻이다.
공명 현상은 이 세상 모든 물체가 일정한 진동수로 진동한다는 법칙에 근거를 둔다. 피아노 건반 소리의 진동수와 사람 목소리의 진동수가 비슷하게 일치되었을 때 둘 중 하나의 소리가 멈추어도 남아 있는 하나의 소리가 멈춘 대상을 진동시켜 같이 울리게 한다는 법칙이다. 반대로 이야기하잠녀 아무리 큰 소리가 난다 하더라도 그 주변에 같은 진동수를 가진 물체 없을 경우에는 혼자 소리가 날 뿐 그 주위에는 아무것도 같이 공명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도 된다. 딱딱하기만 한 과학의 법칙 같지만 실제로는 이 원리가 우리의 삶에 바로 적용된다.
만약 다른 사람의 어떤 부분이 내 마음에 들지 않아 그 사람의 흉을 보고 있다면 십중팔구 내 안에도 그 사람의 결점과 일치하는 무언가가 똑같이 진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내 안에 그와 비슷한 것이 아예 없다면 다른 사람의 잘못이 웬만해서는 내 의식의 레이더망에 잡히지 않기 때문에 특별히 내가 그것 때문에 괴롭다거나 다른 사람에게 그의 흉을 일부러 잡는다거나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너무 돈 있는 척해서 싫다고 한다면 사실은 본인도 무척이나 다른 사람들 앞에서 돈 자랑을 하고 싶은데 복이 안 돼서 지금 못하기 때문에 그 흉이 내 마음에 보이는 것이다.
그와 반대로 우리가 존경하는 인물의 사진을 보면서 그 분을 자주 생각하고 흠모하고 있으면 나도 모르게 존경하는 이가 가지고 있는 품성이라든가 사고방식, 행동드를 점점 닮아가게 된다. 그 이유는 존경하는 이를 생각할 때마다 내 마음속에서 그와 같은 부분에서 진동을 일으켜 나도 모르는 사이에 그분처럼 점점 변해 가는 것이다.
사실 밀교에서 하는 진언수행도 이런 공명의 법칙과 관련이 있다. 지금 내 모습이 부처님 같지 않더라도 모든 중생은 불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불성의 진동수를 가지고 있는 진언을 계속해서 소리 내어 염송하고 있으면 내 안의 불성의 진동수도 같이 공명하면서 언젠가는 부처님의 마음과 나의 마음이 둘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는 날이 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명의 법칙을 잘 이용하다 보면 힘을 많이 들이지 않고도 일의 능률이 몇 곱절로 돌아오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같은 진동수의 소리가 동시에 두 곳에서 울리게 되면 그 진동의 진폭은 배가 되기 때문에 그만큼 힘이 강해지는 것이다. 간혹 가벼운 돌풍에도 쉽게 무너지는 다리들이 있는데 그것은 바랑이 그 다리를 치면서 다리의 진동수와 공명하는 경우에 발행한다고 한다.
잠을 자지않고 새벽까지 3000배 수행을 할 때 혼자 하는 것도 너무도 힘들지만 도반들과 같이 어려워도 대중의 힘으로 무리 없이 목표를 달성하게 되는 것은 공명의 법칙이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는 것이다.
- 혜민 스님, <젊은 날의 깨달음> p230
인생에 있어서도 매한가지 매순간의 주파수와 한방향을 이루는 삶이 현재를 사는 것이다. 현재의 주파수는 매순간 변한다. 그 주파수에 깨어있어 주파수와 공조하는 삶이란, 현재의 주파수와 한방향을 이루려면 전찰라의 주파수를 버려야, 놓아야한다. 잔찰라의 주파수를 놓으면 현재와 공명할 빈마음이 되고 현재의 주파수와 한방향을 이룬다.
'삼세의 고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과 수행 (0) | 2013.05.07 |
---|---|
흐름을 따라가라 (0) | 2013.05.07 |
감정으로부터의 자유와 주인 (0) | 2013.03.28 |
공空과 무가애無罫碍 (0) | 2013.03.25 |
현재에 깨어있는, 봄 (0) | 2013.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