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이것은 가르침이, 일반적으로 생각되어 온 것처럼 무지를 한 단계씩 제거하는 것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겠군요. 지식의 전달은 부차적인 것이 되는군요.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이념에 상응하는 삶의 방식, 독특한 형태의 '더불어 살기'이고, 이로부터 중요한 주제들이 때가 되면 자연스럽게 나오는 셈이군요.
바로 그렇습니다. 아이들은 학교에서 수학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수학 교사와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배웁니다. 아마도 아이들은 언젠가 이 즐겁고 흥겨운 종류의 '더불어 있음'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것입니다. 그리고 수학 교사가 되거나 그 자신 수학자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교사들은 어떤 내용을 단순히 전달하기만 하는 것이 아닙니다. 학생들에게 어떤 삶의 방식을 접하게 하는 것입니다. 그 과정에서 산수의 규칙들, 물리학의 법칙들, 또는 언어의 문법 등이 습득될 것입니다. 내 주장은 이렇습니다. '학생은 교사를 배운다.'
2.
바로 그렇습니다. 아이들은 학교에서 수학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수학 교사와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배웁니다. 아마도 아이들은 언젠가 이 즐겁고 흥겨운 종류의 '더불어 있음'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것입니다. 그리고 수학 교사가 되거나 그 자신 수학자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교사들은 어떤 내용을 단순히 전달하기만 하는 것이 아닙니다. 학생들에게 어떤 삶의 방식을 접하게 하는 것입니다. 그 과정에서 산수의 규칙들, 물리학의 법칙들, 또는 언어의 문법 등이 습득될 것입니다. 내 주장은 이렇습니다. '학생은 교사를 배운다.'
2.
협력하기를 고의로 거부하는 아이들은 어떨까요? 그들에겐 무엇을 해야 할까요? 물론 고전적인 대답은 이렇습니다. '낮은 점수, 추방, 성공적인 무리들에서 배제하기.'
교사들이 늘 불만스러워하는 이른바 문제 학생은 종종 눈에 띄고 받아들여지기 위해 노력하는 것일 뿐입니다. 세상이 온통 이들에게 계산될 수 있는 방식으로 행동하고 강한 요구에 자신을 맞추도록 예상하고 있는 상황에서 말입니다. 이 아이들에게 자신들이 하고 싶은 것을 하도록 요구하면 교류를 위한 공간이 열리고 아이들은 자신들의 저항을 버리게 될 것입니다. 실제로 눈에 띄는 것, 자기 존중을 회복하는 것, 그리고 사랑이 바탕이 되는 상호작용들에 참여하는 것은 치유 효과가 매우 큽니다. 일부 학생들은 어쩌면 제공된 가르침의 종류가 쓸모없게 보이고 지루하기 때문에 돌아설 수도 있습니다. 만일 아버지가 벽돌공이고 아들도 같은 직업을 갖게 될 운명이라면, 왜 그가 고급 대수학에 시간을 낭비해야 할까요? 학생들 쪽에서 내리는 이러한 평가는 이제 교사로 하여금 벽돌공의 일이 고급 수학과 상당히 연결되어 있음을 증명하는 수완을 발휘하도록 촉구하는 것입니다. 일단 관심을 갖는다면 세상 모든 일이 흥미롭습니다.
3.
"만일 당신이 당신의 작업에 대해 존경과 사랑을 그렇게 적게 갖고 있다면, 학생들이 문법을 싫어하는 건 당연합니다." 그녀는 자신의 내적 태도를 바꿈으로써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야 했습니다. 학생들은 자신들의 선생님이 업무에 열광적으로 몰두하고 있는지 언제나 재빠르게 파악합니다.(211)
그것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어떤 것에도 열광적으로 몰두할 준비가 확실히 되어 있습니다. 물론 주변에 "수학은 싫증나, 문법은 따분해, 생물은 재미없어"라고 계속해서 이야기하고 말하는 사람이 없다면 말입니다. 이런 식으로 생각하게 된 사람들은 불리한 입장에 놓이게 됩니다. 말할 것도 없이, 학생들의 일상생활에 학교의 화젯거리들을 연결시키고, 그들과 관련된 문제들을 전면에 내놓는 일은 항구적인 과제입니다. (211)
무릇 교사란 상황에 따라 올바른 절차를 선택할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해야 합니다. 물론 어떤 것들은 암기되어야 하고 반복적으로 연습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심지어 단순한 반복조차 우리의 시각을 예민하게 하고 새로운 통찰들을 낳을 수 있기 때문에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갑자기 우리 앞에 놓인 방정식을 푸는 게 더 쉬워졌다는 것을 알게 되고, 공을 네트에 수백 번 드롭킥을 하고 나면 어느 순간 우리의 근육은 바뀌게 되고, 우리의 슛은 더욱 정확해지게 됩니다. 만일 당신이 반복 연습을 어쩔 수 없이 지루한 판에 박힌 활동으로 평가절하한다면, 당신은 그것이 가치가 없다는 부가적인 의미를 그것에 부여하는 것입니다.(212)
'마뚜라나 <있음에서 함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4: 내재적 사고 (0) | 2019.11.08 |
---|---|
교육3 (0) | 2019.11.08 |
교육1. (0) | 2019.11.08 |
인연의 관계망, 마술적 포획,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0) | 2019.11.07 |
내재적 사고 (0) | 2019.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