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무아도 마찬가지입니다. 결정된 실체가 없는 데서 오히려 모든 현상계가 인연 조건에 따라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무아이기 때문에 현상계가 제 모습을 띠고 언제나 그렇게 존재하며, 현상계의 모습 그대로 무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상계의 모습을 부정하기만 하거나 현상계의 모습을 그대로 긍정하기만 하는 것은 자기의 삶을 바르게 아는 것이 아닙니다. 연속과 불연속, 긍정과 부정을 하나로 뚫고 있는 연기실상을 알지 못할 때 삶의 모든 것이 괴롭습니다. 곧 삶의 본질이 괴롱누 것이 아니라 본디 모습을 여실히 알지 못하는데서 괴로움이 일어납니다.
바꿔 말하면 깊은 수행으로 진실한 삶의 모습을 가로막는 삼독심이 사라졌을 때 괴로움은 저절로 사라지니 이를 열반적정이라고 합니다. 이 관계를 유식에서는 의타기성,변계소집성,원성실성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연기법의 의타기성에서 나투는 모든 중생과 사물들 낱낱을 자성이 있다고 알 때 변계소집성인 괴로움의 세계가 있고, 이들 모두가 무자성으로 연기의 한어울림임을 여실히 알 때 원성실성으로 열반의 세계가 열립니다. 이렇듯 중생의 셰계와 열반의 세계를 묶어 세 가지 모습으로 나누어 이야기하고 있지만 근간은 의타기성, 곧 인연 조건의 변화에 의해서 모든 것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한 생각이 일어나는 순간이 원인이 되어 끊임없는 시간이 결과로 있게 됩니다.
또한 생각이 일어나는 한 순간은 그 자체로서의 시간의 길이를 갖지 않은 공성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바꿔 말하면 시간의 자성이 없기 때문에 모든 시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원인은 결과인 모든 시간에 따라서 다시 결과가 되기 때문에 원인과 결과가 한 모습으로 있게 됩니다. 이것은 전후찰나의 흐름이 인연 조건의 변화를 그대로 나타내면서도 그 가운데에 아무런 실제가 없는 공성이기 때문에, 서로가 서로에게 원인과 결과로 존재하고 한 순간 그대로 모든 시간의 속성이 될 수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모든 다른 시간이 원인이 되어서 마음에 일어나는 시간인 한 순간을 이루고 이 한 순간이 원인이 되어서 모든 다른 시간을 이루는 관계에서만 한 순간과 모든 시간이 연속과 불연속, 긍정과 부정으로 시간의 특성인 변화를 나투는 것입니다. 일정하게 고정되거나 멈춘 상태만을 인식하는 중생의 업이 수행을 따라서 지혜로 전환되어 진여 공성에서 나투는 시간의 무자성을 여실히 알아차릴 때 한 순간의 시간이 무량한 시간과 아무런 다름이 없음을 뚜렷하게 알게 됩니다. (법성게 150)
T.
시간의 무자성. 시간은 자성이 없고 인연을 따라 이룬다. 분별이 있을 뿐이지 한순간의 시간 자체와 무량한 시간 자체는 그것일 뿐이다. 불일불이.
'정화스님의 <법성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치도 제 모습을 버리지 않고 (0) | 2021.01.25 |
---|---|
전체로서 부분 [분리될 수 없는 연기] (0) | 2021.01.24 |
시간의 공성 (0) | 2021.01.24 |
좌선 (0) | 2021.01.24 |
중중무진법계 (0) | 2021.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