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견해의 차이점과 대비되는 점을 보다 분명히 하기 위해서 인과관계라는 문제를 가지고 생각해 보는 게 의미가 있을 것 같군요. 로렌츠의 주장에는 (관찰자가 아니라)환경에 우위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인과관계로 보자면 환경은 경험의 원인이고 그 결과가 점진적 인식의 확장을 통해서 실제적인 세계와 같아지는 적응인 것이지요. 당신은 이런 작용관계를 뒤집고 있고요. 그래서 유기체의 경험이 우위를 점하고 관찰이 원인이며 표상의 총체인 세계의 성립은 그 결과인 것이지요.
당연히 그렇습니다. 어쩌면 제가 썻던 아주 짧은 연극한토막이 설명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 연극은 관객이 있는 극장에서 행해집니다. 갑자기 멋진 붉은 막이 올라갑니다. 그리고 무대로의 시야가 열리지요. 사람들은 한 그루의 나무, 한 여인과 한 남자를 보게 됩니다. 그 남자는 나무를 가리키면서 큰 목소리로 아주 연극적으로 말합니다. "저기 나무가 서 있군." 그러면 여인이 말합니다. "거기에 나무가 있다는 것을 넌 어떻게 아니?" 남자는 말합니다. "내가 그것을 보니까!" 이에 여인은 살짝 웃으며 말합니다. "아~" 그리고는 막이 내려집니다.
인식의 문제와 외적 세계의 역할을 둘러싼 오래된 논의, 얼마 전까지 그리고 로렌츠에게까지 지속되어 온 천년 이상 된 논의를 밝히는데 이 작은 연극이 적합하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이 연극에서) 우리가 그 남자에 동의해야하는지 그 여자에게 동의해야 하는지에 관한 결정할 수 없는 물음이 우리를 태고이래로 지배해 왔습니다. 그 남자는 관찰과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나무와 환경을 주장하고 있고 그 여자는 반대로 그 남자가 그 나무를 보기 때문에 그 나무에 대해서 알 뿐이라는 점을 환기시키고 있습니다. (발명품 35)
2.
어떤 한 남자가 말합니다. "저기 나무가 서 있군." 그러면 여인이 말합니다. "거기에 나무가 있다는 것을 넌 어떻게 아니?" 남자는 말합니다. "내가 그것을 보니까!" 이에 여인은 살짝 웃으며 말합니다. "아~" 그리고는 막이 내려갑니다.
이제 우리는 이 두 가지 태도 중에서 어떤 것을 받아들일 건지 자문해봐야 합니다. 그 남자는 외적 준거에 기반 합니다. 반면에 그 여인은 나무를 지각하는 일이 그 남자의 관찰에 결합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물론 이 짧은 연극에서 흔히 말하듯이 객관성과 주관성의 대립이라든지 다양한 인식론적 입장만이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객관주의자와 주관주의자와의 논쟁 보다 훨씬 중요한 것은 좀 다른 것인데, 그 남자는 세상과 자신을 분리하는 반면에 그 여인은 자신이 기술하는 세상과 자기 자신을 묶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249)
'사구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기적 인과와 긍정의 긍정 (0) | 2020.02.19 |
---|---|
유아론을 넘는 도약 (0) | 2020.02.13 |
순환성, 무상, 차이의 반복 (0) | 2020.02.11 |
화내면 왜 괴롭지? (0) | 2020.02.04 |
욕구에 기초한 사랑 vs 이성에 기초한 사랑 (0) | 2020.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