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와 같은 내용을 화엄에서는 1에서 10까지의 숫자를 보기로 들고 있습니다. 1이란 그 자체로서 성립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2에서 10까지의 숫자가 뒷받침 되어야만 1이란 숫자가 뜻을 갖게 됩니다. 아울러 바탕 숫자인 1이 없으면 2에서 10까지의 숫자도 있을 수 없습니다. 이 1이 모든 숫자 가운데 하나이지만 동시에 1이 모든 숫자를 이루게 하는 점에서 보면 1이 모든 숫자가 됩니다.
또 10이라는 숫자도 1과 그 밖의 숫자에 따라 있게 되었지만 그 또한 모든 숫자를 성립시키면서 모든 숫자가 됩니다.
이와 같은 관계에서 보면 낱낱 숫자는 자기의 얼굴을 가진 전체 숫자 가운데 하나이면서 동시에 전체 숫자가 되고 있습니다. 이는 앞서 서까래와 집과의 관계, 수행자의 앉아 있음이 우주법계의 앉아 있음을 나타내는 인과 관계라는 것과 같은 뜻입니다. 이와 같은 인연 관계가 연기법입니다.
세상의 모든 법들은 서로가 서로를 전체로 살게 해 주면서 그로써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도 있습니다. 어느 것이라도 온 우주를 성립시키기도 하고 해체시키기도 합니다. 한 생각이 떠오르는 순간 온 우주가 그 생각과 어울려 새로운 한 세계를 이루고 그 생각이 사라지는 순간 온 우주가 사라지는 법으로, 다른 세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생각 생각마다 온 우주가 전체로 그 생각을 이루고 새롭게 새롭게 창조되고 있습니다.
이것이 화엄의 중중무진 연기법계이자 그대로 비로자나 부처님의 세계입니다. 이것이 깨달음의 세계를 향해 마음을 내는 것 자체가 깨달음 그대로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밑바탕입니다.
따라서 깨달음을 향한 마음은 단지 부처님의 공덕을 이루는 한 마음이 아니라 부처님의 모든 공덕을 나투는 전체로서 깨달은 마음입니다. (법성게 163)
'정화스님의 <법성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의 추상 (0) | 2021.01.27 |
---|---|
화엄의 연기세계 (0) | 2021.01.26 |
한 치도 제 모습을 버리지 않고 (0) | 2021.01.25 |
전체로서 부분 [분리될 수 없는 연기] (0) | 2021.01.24 |
시간의 무자성 [무아] (0) | 2021.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