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마뚜라나  하인쯔 폰 푀르스테르는 체계들에 대해 대단히 깊은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그는 그것들의 모체를 알고 있고, 이 모체에 의해 덮이지 않는 틈들과 빈 공간들을 발견합니다. 이 틈들 속에서 그는 완전한 자유와 더할 나위 없는 자기믿음을 가지고 움직이며, (꼭 그래야 한다면) 자기 자신을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어느 날 몇몇 일들이 마무리하기 위해 그와 함께 마을로 내려가서 주차 공간을 찾던 때가 기억나는 군요. 하인쯔 폰 푀르스테르는 다음과 같은 경고문이 바로 아래에 붙어 있는 경찰서 앞에다 차를 주차했습니다. "특별히 허가된 차량만 주차 가능함." 그가 매우 자신만만하게 차에서 내리자, 나는 그에게 주차하기 위해 왜 딱히 이 장소를 선택했는지, 그리고 그가 진짜 특별한 허가를 얻었는지 걱정스럽게 물어보았습니다. 그는 대답했습니다. "아닙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특별히 허가를 받은 사람만이 여기에 주차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경찰조차도 내가 분명히 가졌다고 믿을 거에요. 그렇지 않다면 절대로 내 차를 감히 이곳에 주차시키지 않았을 겁니다!" 내 반응은 이랬습니다. "오 저런, 들통이 날 텐데요." 그가 말했습니다. "알고 있어요. 그건 당신이 실제로, 차를 이곳에 주차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이 대화는 나한테 무엇보다도 환한 빛을 던져 주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이 하인쯔 폰 푀르스테르가 갖추고 있는 체계적 이해를 밝혀 주었고, 동시에 내가 자기믿음을 결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냈기 때문입니다. 나는 하나의 체계 속에서 활동하고 싶은 사람은 누구나 이것을 이해해야 할 뿐만 아니라 또한 이 이해를 완전히 신뢰하고 그것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있음에서 함으로> p262

2.

나의 경우, 위의 글은 이해하기 힘들었는데, 나의 경험을 토대로 이해할 수 있지 않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직업적 이유로 공사 현장에 주차를 하게 되는데 그곳은 대개 관계자만이 주차를 하는 곳이다. 허나 내가 관계자가 아닌 관계에서도 (내가 일적으로 오지 않을 때) 그 사정을 알다보니 나는 관계자처럼 주차를 한다. 그리고 들통나지 않는다. 왜냐면 아무도 내가 관계자가 아니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3.

여기 주차와 정확히 같은 사례로, <도난 당한 편지>, 영화 <레옹>의 경찰서에서의 탈출방법, 속담으로는 '등잔 밑이 어둡다.'등을 꼽을 수있겠다. 우리들은 생각에 의존해 사는 존재들이다. 일체유심조의 이해.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