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악어는 나무통을 재생하지 않으며, 카멜레온 역시 그 주위의 색을 재생하지 않는다. 핑크 팬더는 아무것도 모방하지 않으며 아무 것도 재생하지 않는다. 그는 세계를 핑크 위에 핑크를 입히며 자신의 색깔로 칠할 뿐이다. 이것이 그 자신이 지각할 수 없게 되는 방식으로, 스스로를 의미화하지 않는 방식으로, 단절과 자신의 탈주선을 만드는 방식으로, 그 '비평행적인 진화'를 끝까지 몰고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세계-되기다. 1
T1000.0 : '되기'를 통해 '자신을 지각할 수 없게 되는 방식이란 무아無我가 아니겠는가. '나' 없음을 통해 나를 지각할 수 없게 되는 방식으로 나는 세계-되기를 이룬다. 무아-되기가 곧 세계-되기. 무아는 '나'는 없으며 '나가 없는 것'도 없음인데 '나가 없는 것도 없음'이 '되기'로 표현된다. 악어의 나무통 되기에서 악어가 없는 것도 없는 것처럼.
비평행적인 진화를 끝까지 몰고가는 방식이 '무아-되기'이고 곧 세계-되기이다.
그리고 '되기'는 말그대로 흐름이며 중간이며 리좀[혹은 연기緣起]을 이룬다.
- 연구공간 너머 자료실, <천의 고원1> p15 [본문으로]
'들뢰즈와 가타리<천의 고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장. 언표행위의 집합적인 배치와 욕망의 기계적 배치 (0) | 2013.01.02 |
---|---|
1장. 리좀과 중도 (0) | 2012.12.28 |
1장. 무상을 표현하는 방법 (0) | 2012.12.28 |
리좀과 연기 (0) | 2012.12.28 |
1장. 리좀, 무자성 (0) | 2012.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