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삼세의 고원들

반야바라밀

T1000.0 2012. 10. 24. 05:22

<반야심경>에서 '깊은 반야바라밀을 닦는다'고 하는 것은 이것을 가르킵니다. 깊다는 것은 언어 표상 곧 이미지에 의한 관찰이 아니라 지금까지 익혀 왔던 언어 이미지와 형상으로부터 벗어나서 관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행의 출발로 모든 법이 허상인 줄 알고[無疑], 생각이 일어나고 사라지는 모든 과정에서 그 생각에 따라 욕심 부리지 않고[無貪], 성내지 않고[無嗔], 마음의 흐름을 그냥 지켜보는 것[觀]이 '공관'이 됩니다.[각주:1]

 

T1000.0 : 언어 이미지에 매여 사는 것과 언어 이미지에 메이지 않는 삶의 차이는 전자는 좋고 나쁨이 있지만 후자는 좋고 나쁨을 떠나 좋음만 있는 것인데 이 좋음은 전자의 좋음과는 전적으로 다른 것이다. 전자의 좋음은 평안으로 가는 좋음, 기쁨이 아닌 불안한 기쁨, 기쁨 속에 슬픔도 키워가는 기쁨인 반면 후자의 기쁨은 평안으로 가는 고요함 속에서 기쁨을 기쁨으로만 늘 경험하는 것이다. 전자의 눈으로 보기에 좋고 나쁜 일이 후자의 눈에는 날마다 좋은날로 경험되는데, 이는 위의 깊은 반야바리밀을 닦는 것처럼 허망분별로 관하기 때문. 오늘 하루도 내가 생각을 좆아가지 않고, 그 생각이 허상인 줄 알고[무의,무탐,무진], 지금 여기를 바르게 분별[관]하고 있는지 반드시 점검해 볼 일이다.

 

 

  1. 정화스님 풀어씀, <중론> p32 [본문으로]

'삼세의 고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기법이 곧 空  (0) 2012.10.24
언어는 게임  (0) 2012.10.24
자아의식  (0) 2012.10.22
수행은 재밌다.  (0) 2012.10.21
생사는 없다  (0) 2012.10.21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