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혜는 따로 필요하지 않다.

최초의 지혜는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다.

있는 그대로 볼 때만이 대상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고

비로소 대상에 대한 지식이 생기고 지식을 활용하는 지혜가 생기고...한다.

 

지혜는 따로 필요 없다. 있는 그대로 보면 될 뿐이다.

반야심경도 이와 똑같이 말한다.

"無智亦無得" 

있는 그대로 보는 데 지혜가 따로 필요하지 않으며

있는 그대로 보기 위해 따로 얻을 것도 없다.

있는 그대로 보면 그뿐이다.

다만 그렇게 할 뿐이다.

다만 할 뿐이다.

 

있는 그대로 보기 위해선 있는 그대로 보아야 한다.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거든 지혜를 구할 게 아니라 버려야 한다.

나에게 형성되어진 편견, 무의식, 업식을 내려놓아야 비로서 대상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

있는 그대로를 보기위해 버린다는 것은 나의 생각을 해체하고 본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사물이나 속성이나 어떤 대상도 공(空)함을 깨닫는다.

왜냐하면 해체할 수 있는 것은 그것을 바라보는 나의 생각이지 대상이 될 수 없으니 말이다.

그것은 그것일 뿐이다. 공이다.

예컨대 욕망을 편견없이 있는 그대로 바라보려할 때 해체해야할 것은 욕망이 아니다.

해체해야할 대상은 욕망을 바라보는 내안의 편견이다.

[우리는 욕망을 해체할 수 있는가? 우리는 욕망을 털끝만큼도 어떻게 할 수 없다.

욕망이 보이지 않는 속성이기 때문에 그런가? 아니다.

어떤 대상도 보이든 보이지 않든 자기의 속성을 표현한다. 우리는 그것을 본다.]

또한 주체와 대상도 둘이 아니다. 주체도 나고 대상도 나인 것을 깨닫는다.

다시말해서 해체하는 주체도 나고, 해체할 대상도 나다. 

그렇다면 "욕망은?" 그것은 그것일 뿐이다.

우리는 욕망을 털끝만큼이라도 어떻게 할 수가 없다. 그것은 불가능하다.

가능한 것은 다만 있는 그대로를 볼 뿐이다. 다만 할 뿐이다.

 

중요한 것은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다.

있는 그대로를 볼 수 있도록 자기를 비우는 것[강렬도=0]이 먼저 할 일이고

두번째로, 있는 그대로 보는 신체 위로 그것이 지나가게 하는 것이다.

요컨대 욕망을 예로 들었으니 욕망을 있는 그대로 보고, 있는 그대로 보는 신체 위로 그 욕망이 지나가게 하는 것이다.

있는 그대로 보는 자신을 만들어라.

이것은 "기관 없는 신체"다.

자기를 비운, 강렬도=0인, 기관 없는 신체.

그렇다, 다만 이렇게 할 뿐이다, "기관없는 신체를 어떻게 이룰 것인가? "

 

 

 

 

  

 

* 있는 그대로 보기 위한 노력은 경청과 공부[연구]를, 있는 그대로 보기 위한 태도는 긍정과 존중[인정과 이해]을 꼽는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