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관찰자들은 (자기 자신을 포함하는) 어떤 것을 그것이 마치 자신들과 분리될 수 있는 것처럼 구분하는 인간들이다.' 그래서 이제 이 체험이 설명되어야만 합니다.

이 방에 있는 탁자와 의자들, 나의 재킷, 내가 두르고 있는 목도리 -- 이 모든 것들은 의심할 바 없이 나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가 주어진 상황의 외부에, 그리고 그것과 분리되어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관찰하기가 하나의 체험, 즉 사물들의 외관상의 독립적인 존재와 역시 관계되는 체험이라는 것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문제는 다음과 같은 것입니다. '도대체 나는 이러한 사물들이 저기에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내 눈 앞에서 펼쳐지고 있는 세계가 나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말하는 것은 어떤 종류의 주장인가?'

2.
그렇다면 선생님의 출발점은, 우리가 불가피하게 우리의 실재들[현실들]을 구축하는 것에 연관되어 있으며, 그래서 그것들에 묶여 있다는 통찰을 확립하고 정당화하기 위해 분리를 체험하는 것이겠군요.

처음에는 분리를 체험합니다. 이러한 체험은 결국엔 연결됨의 통찰로 바뀝니다. 물론 나는 내가 서술하고 있는 대상의 일부가 아닙니다. 여기 탁자 위에 있는 유리잔을 가리키는 경우, 나는 그 유리잔의 일부가 아닙니다. 하지만 유리잔을 구분해 내는 것은 나와 관계되어 있어야 합니다. 나는 그것을 서술하는 사람입니다. 나는 그 구분을 사용하는 사람입니다. 또는 그 역도 마찬가지입니다. 만일 아무도 이런 구분을 하지 않는다면, 그렇다면 이런 식으로 환경으로부터 특화되어 있고 분리되어 있는 물질적인 실체 또는 관념적인 실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47)

그럼 우리가 행하는 첫 번째 구분은, 실재를 구축하는 기원인, 알기의 빅뱅 같은 것이군요. 어쨌든 무언가를 볼 수 있기 위해서는 하나의 구분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군요.

바로 그렇습니다. 오직 구분되는 것만이 존재합니다.[유식] 설령 그것이 우리 자신과 구분된다 할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 구분의 작동을 통해 그것과 묶여 있습니다. 내가 무언가를 구분할 때마다 구분되는 실체는 그 구분의 의미를 갖는 어떤 배경과 함께 출현합니다. 구분되는 실체는 그것이 존재하는 영역을 산출합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을 한번 상상해 보세요. 어느 날 저녁 당신은 파티를 축하하기 위해 친구들을 방문합니다. 몇몇 사람과 대화를 나누고 있는 중에 갑자기 누군가 당신의 어깨를 칩니다. 당신은 돌아서서 그가 수년 동안 보지 못했던 친구라는 걸 알아차립니다. 당신은 말합니다. "아니 자네가 여기 웬일인가?" 당신은 그가 어디에서 왔으며, 누가 초대했는지, 생활은 어떠한지 등등에 대해서 그에게 물을 것입니다. 정말이지 당신은 하나의 역사를 창조하고 있는 것입니다. 연결들의 영역을, 그의 출현에 의미를 부여하는 배경을 창조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아무도 모르는 곳'에서의 그의 갑작스런 출현은 그 놀라운 낯섦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앎의 앎'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름뿐  (0) 2019.11.20
추론해 보기2  (0) 2019.11.17
무분별: 확실성 버릴 준비  (0) 2019.11.05
옳고 그름을 너머(객관성): 복종 vs 존중  (0) 2019.11.04
절대긍정과 존중  (0) 2012.07.26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