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무지는 대상을 바라볼 때 아름답다거나 추하다는 특성을 부풀립니다.
아름다움, 추함은 그 자체로, 스스로 존재하지 않으며, 연기하여 존재하므로 생각에 의존하며,
생각을 부풀리면 탐진치, 해로운 마음을 일으킨다.
본래는 공하여 자성이 없는데, 우리가 보기에는 자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약견제상비상 - 모든 상에서 상 아닌 것을 본다.
상 아닌 것으로 봄으로써 본래 얻을 수 없는 것임을 확연히 안다.
얻을 수 없음을 앎으로써 저절로 집착하지 않으며
집착하지 않으면서 오고 가는 기쁨을 그저 향유한다.
아름다움, 추함은 그 자체로, 스스로 존재하지 않으며, 연기하여 존재하므로 생각에 의존하며,
생각을 부풀리면 탐진치, 해로운 마음을 일으킨다.
본래는 공하여 자성이 없는데, 우리가 보기에는 자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약견제상비상 - 모든 상에서 상 아닌 것을 본다.
상 아닌 것으로 봄으로써 본래 얻을 수 없는 것임을 확연히 안다.
얻을 수 없음을 앎으로써 저절로 집착하지 않으며
집착하지 않으면서 오고 가는 기쁨을 그저 향유한다.
'앎의 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괄호친 객관성의 다양성의 초대 (0) | 2019.11.26 |
---|---|
이름뿐 (0) | 2019.11.20 |
무분별: 확실성 버릴 준비 (0) | 2019.11.05 |
옳고 그름을 너머(객관성): 복종 vs 존중 (0) | 2019.11.04 |
분리의 체험 : 어떻게 아는가? (0) | 2019.1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