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분석적 문제[인과]가 무엇입니까?

어떤 체계나, 기계나, 생명체가 주어져 있을 때 분석적 문제란 그런 체계, 기계, 생명체가 어떻게 가능하는가? 한정된 일련의 실험을 통해 자극과 반응, 원인과 결과의 관계에서 읽히는 작동 속성을 규정할 수 있는가? 변형의 규칙이 끄집어내지는가? 등의 문제입니다. 단순치 않은 기계의 경우 분석적 문제는 이미 말했듯이 원칙적으로 해결될 수 없습니다.그런 기계의 변형규칙은 역사와 과거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혀 예측 가능하지 않습니다. 스런 이유로 끔찍하게도 비호감으로 남아 있습니다. 그런 기계는 계산(예측) 가능한 세상에 대한 우리의 꿈을 깨버리는 것입니다. (발명품 88)

우리는 늘 그리고 어디서나 그런 단순치 않은 기계와 관계를 맺고 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때에 따라 우리는 뭔가를 잠시 단순화시킬 수 있습니다. 전체 잡동사니가 다시금 난무할 때까지만 말입니다. 과거[초기 조건]가 늘 역할을 하면서 변형의 규칙에 영향을 줍니다. 그러니까, 아무리 비싼 자동차라도 언젠가는 고장이 나게 마련입니다. 그래서 역사에 의존된 행동을 보여주는 거죠. 제 주장은 세상 전체가 하나의 단순치 않은 기계라는 겁니다. (88)

2.

연기적 사유란 연기적 조건에 따라 모든 것의 본성이나 작용이 달라짐을 보는 것이다. 인과법칙 또한 연기적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이때 '연기적 조건'이란 과학에서 사용하는 '초기 조건' 가까운 의미를 갖는다. 즉 연기적 조건을 초기 조건이란 말로 바꿔 쓰면, 분석적 인과성과의 차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분석적 인과성이 초기 조건의 차이를 부차적으로 보고, '동일한 조건이라면'이라는 말로 추상하여 그런 조건과 무관하게 성립하는 보편적인 인과성을 찾고자 한다면, 연기적 인과성은 초기 조건의 차이에 따라 인과의 작용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대비된다. (불교를 철학 64)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