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어떤 현상이 우리의 인식주관과 마주치면[識場] 기분 좋거나, 기분 나쁘거나, 덤덤한 마음이 일어나는 것이 입니다. 마주친 내용이 이름과 형태로 구별되는 것이 상想입니다. 이 상태에서 좋은 쪽을 가지려고 하고 나쁜 쪽을 버리려고 하는 것이 입니다. 이미 드러난 수와 상을 분별하여 가지려고 하거나 버리려고 하면 다음 인식의 장이 결정됩니다[후찰나의 식장]. 인식의 장이 이루어지면 행의 결정에 따라 그 다음 수와 상의 내용이 달라 나타납니다. 식은 낱낱의 마음의 작용[心所]이 아니라 그것들이 활동하는 장[마당, 識場]입니다. 그래서 수행이란 행의 흐름을 닦는 것[修]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204)

 

덧붙여 나는, 수행, "행의 흐름을 닦는 것"은 행을 떠나 행을 이루는데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스스로의 자성을 지키지 않고 인연을 따라 이룬다.[不守自性 隨緣成]"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