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질문은 당신의 인식이론적 관점에서 볼 때 정신적인 건강함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입니다. 질문을 뒤집어 표현해 보면, 정신과의사들은 환각을 갖고 있고 망상에 시달리는 환자들에 대해서 그들이 "현실연관"을 상실했다고 말하잖아요? 그들은 은연중에 객관적으로 인식가능하고 그들이 엄연히 접근 가능한 현실이라는 것으로부터 출발하고 있으니까 그들의 진단개념들은 존재론적으로 오염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말이죠.
그 주제와 관련하여 정신과의사인 올리버 색스의 매력적인 책들 중의 하나에 관한 짧은 얘기가 떠 오르네요. 그 책 제목은 영어로는 '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 자기 부인을 모자로 착각한 남자이고 독일어로는 'Der Mann, der seine Frau mit einem Hut verwechselte'입니다. 제가 가족치료학자들 앞에서 강연을 하는 동안 올리버 색스를 거론할 때 아주 재미있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제가 그 책을 언급하면서 제목이 'The man who took his wife for a hat.'자기 부인을 모자로 여긴 남자이라고 했지요. 그런데 치료학자들은 이미 그 책 제목을 알고 있어서 제게 소리 쳤어요. "하인츠 씨, 틀렸어요. 그 책 제목은 '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입니다." 저는 "아, 그렇다면 뭔가 결정적인 것을 색스는 놓쳤군요"라고 말했습니다. 그가 얘기했던 그 남자는 사실 착각한 게 없어요. 그 남자는 자기 부인을 모자로 여겼습니다. 그에게 그녀는 모자였던 겁니다. 그 책은 해석의 이중성을 명백히 하기위해서 원래는 'Der Mann, der seine Frau fur einen Hut hielt'자기 부인을 모자로 간주한 남자가 되었어야 합니다. 우리는 아직 모릅니다.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누가 사물을 바로 보는지. 우리는 어떤 행동을 전적으로 정해진 방식으로 해석하도록 강제하는 실재론적 전제에서 출발하지 않습니다.(발명품 126)
그 말은 올리버 색스가 실재론적 인식이론가로서의 입장에서 그 남자의 행동을 해석했다는 것이지요. 자기는 현실을 아는데 환자는 심각하게 현실을 비껴나 있다는, 현실적응의 정도가 어떤 사람이 정상적이고 정신적으로 건강한지를 확정짓는 진단의 토대하는 식으로.
그게 요점입니다. 그 불쌍한 남자는 오류를 범한게 아니라 다만 의사가 그 남자의 부인으로 여기는 그 모자를 지각했을뿐이라는 사실을 올리버 색스는 몰랐던 겁니다. 금단증상을 가진 사람이 가진 망상도 아주 유사합니다. 의사가 문을 열고 들어왔는데 환자가 벽을 타고 오르내리는 흰쥐를 가리키면서 뭐라하면 의사는 말합니다. "그건 쥐가 아닙니다. 실제가 아니고 착각이고 환영일 뿐입니다. "저는 거기에 대해서 "불쌍한 의사야!"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그 의사는 쥐를 보지 않습니다. 그는 자신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의 세계로 들어갈 수 없습니다. 그게 그 의사의 문제인 것입니다. (발명품 127)
2.
순환적인 사고가 내 정신의 건전함을 위태롭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나의 이해를 증대시켰다는 것을 깨달은 순간이 찾아왔습니다. 특히 외부적 실재가 아니라 나 자신의 체험에 기인하는 결정은 우리의 정신을 해방시켜주고 평안하게 해주는 큰 효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겪는 체험은 더 이상 의심받지 않으며, 더 이상 비 실재적이거나 환각적인 것으로 폄화되지 않습니다. 이 체험들은 더 이상 하나의 문제도 아니며, 더 이상 정서적 갈등들을 낳지도 않습니다. 그것들은 단지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질 뿐입니다. 내가 지난 밤에 예수가 나에게 이야기하는 목소리를 들었다고 주장한다고 가정해 보세요. 만일 내가 이러한 체험을 다른 사람들에게 말했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하세요? 어떤 사람은 내가 환상을 겪었다고 내게 설명해 줄 수도 있습니다. 예수는 죽었고 그래서 도저히 나에게 이야기할 수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라는 거죠. 다른 사람은 내가 허영심이 엄청 강하다고 생각하고는 혹시 내가 선민처럼 보이고 싶어 했던 것('마침내 예수가 나에게 이야기하고 있었어!')이 아닌지 의실할 수도 있습니다. 또 다른 사람은 밤새 악마가 나를 유혹에 빠뜨렸던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들은 내가 나의 체험을 이해하게 하려는 그런 설명을 거부하지만 체험 그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그들은 내가 어떤 목소리를 들었다는 것을 문제삼지는 않습니다. (함으로 60)
T.
우리는 아직 모릅니다.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누가 사물을 바로 보는지. 우리는 어떤 행동을 전적으로 정해진 방식으로 해석하도록 강제하는 실재론적 전제에서 출발하지 않습니다.
'사구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세계는 어떤 정보도 갖고 있지 않다. > (0) | 2020.02.26 |
---|---|
*인간에 대한 이해 (0) | 2020.02.25 |
*즉문즉설의 기도문, 절 (0) | 2020.02.24 |
*무명천지지시 유명만물지묘[분별과 세상] (0) | 2020.02.24 |
연기적 인과와 긍정의 긍정 (0) | 2020.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