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유식이라는 말에는 청정과 분별의 두 가지 뜻이 있습니다. 청정의 삶은 주객의 만남인 연기의 삶 자체가 저절로 가장 조화로움을 지향하는 근원적인 앎을 말합니다. 분별의 삶은, 아와 법을 인식의 기준틀로 삼는 조화롭지 못한 앎의 세계를 말합니다. 청정과 분별은 연기의 삶, 곧 식장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삶을 서로 다른 인식의 근거를 가지고 앎을 이루고 있는데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유식 30송 40)
T.
유식의 두 가지 뜻, 청정과 분별. 청정과 분별 사이의 중도! 우리는 청정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면서도 분별을 체험하고 있다. 하나는 진짜고 하나는 거짓인 관점이 아니라 둘 사이의 중도를 찾아가야한다.
2.
삶 자체는 주관과 객관이 항상 어우러져 있습니다. 본질적으로 인식주관과 인식 대상은 언제나 어우러져 있는 하나의 장면이면서 그때그때의 연기관계에 따라 제 모습을 나툽니다. 곧 마음과 대상이 어우러져 하나 된 식자을 이루는 것이지요. 그러면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사라지는 변화가 앎으로 나타납니다. 그러나 변화만을 통해서만 사물을 파악하는 우리의 눈과 귀로는 전체적으로 늘 함께하는 흐름을 파악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제8식은 알 수 없다'라고 합니다. (40)
3.
인식관계는 이 넷을 다 갖추고 있는데, 앎 자체가 총제적인 우리의 삶이며, 상호작용하는 연기의 장면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요소들은 관계 속에서 자기 변화를 계속하면서 상속되어 갑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닌 한 상속은 유사성을 띠게 되므로, 언어생활을 통해 일어나고 있는 현실의 삶이 인식 속에서 고정화되면서 연기관계의 삶을 왜곡시키고 있습니다.
수행은 집중력과 관찰력을 바탕으로 합니다. 우가 수행자들은 이 두가지를 통해서 우리 삶의 흐름을 알게 되었으며, 본질로부터 소외되어 있는 삶의 특징이 언어적인 분별에 있음을 알았습니다. 따라서 그들은 언어와 본질의 관계를 이름, 사물, 자성, 차별의 사심사관을 통해 이야기했습니다.(43)
'정화스님의 <생활속의 유식30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식 (0) | 2020.12.19 |
---|---|
유식과 분별작용 (0) | 2020.12.19 |
삶이 곧 앎 [자연표류] (0) | 2020.12.18 |
연기실상, 우리의 삶. (0) | 2020.12.18 |
변화 속의 유사성, [상수] (0) | 2020.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