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T.
행위의 조정의 조정으로 언어가 출현하고, 언어적 구분을 언어적으로 구분하는 분별이 세상을 산출한다고 나는 정리한다. 이 분별을 고정된 독립된 실체로 여기는 건 전도몽상이자 무지.
유명만물지모
1.
내 주장은 이렇습니다. '우리가 행위의 순환적인 조정, 즉 행위의 조정의 조정에서의 흐름과 마주칠 때마다, 우리는 새로운 것, 즉 언어가 출현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언어가 출현할 때 대상들이 출현합니다. 예컨대 택시 같은 것 말입니다. 택시란 무엇입니까? 내가 말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것입니다. '행위의 두 번째 조정(첫번째 순환)에 의해 조정을 이룬 행위의 조정으로서의 승객을 태우는 수송 및 운전은 행위의 세 번째 조정(두 번째 순환) 속에서 택시라고 "이름 붙여져"나타나는 행위의 그러한 배치가 된다.' 이것은 (택시가 수송[실어나름]을 모호하게 하는 것처럼) 대상들이 자기들이 조정하는 행위를 모호하게 하는 '행위의 조정들의 조정'으로서 출현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함으로 146)
'뫎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의 연기성 (0) | 2020.12.26 |
---|---|
'나'의 출현 (0) | 2020.12.18 |
사랑의 생물학 (0) | 2020.12.17 |
인식이란 객체와 아무 관계가 없다 (0) | 2020.12.17 |
언어안에 존재함으로써 생기는 작업적 응집성, 의식 (0) | 2020.1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