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마뚜라나 그렇다면 무엇이 대안일 수 있을까요? 자유의 황홀한 이점들을 사람들에게 설명하기 위해 그들을 감옥에 가두고 사슬에 묶어야만 할까요? 폭력을 거부하라고 우리가 사람들을 강제할 수 있을까요? 이러한 접근법은 결코 효과가 없을 것입니다. 내 견해는 이렇습니다. 소위 윤리적 법률과 규범들조차도 성찰의 가능성을 파괴한다는 것입니다. 그것들은 개인적으로 책임 있는 행동의 토대들을 제거하고 복종을 요구합니다. 더 면밀히 살펴보면 그것들은 폭정을 위한 또 하나의 표현에 불과합니다. 당신은 어떤 세계관이나 삶의 방식이 선택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습니다. 당신은 그들의 믿음과 행위들에 내재해 있는 결과들을 그들에게 제시해 줄 수 있지만, 그것은 그들에게 무엇을 하도록 강제하거나, 사물에 대한 특정한 관점을 받아들이도록, 다소 폭력적으로, 그들에게 압력을 행사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있음에서 함으로>
* 간섭하지 않는 존중에 관한 글로 본 블로그 '<금강경>: 말하지 않는 감동(초안)' 참조(부처와 스피노자의 존중).
'마뚜라나 <있음에서 함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는 언어 속에서 출현한다. (0) | 2012.08.02 |
---|---|
경청의 방식(통합과 거리) (0) | 2012.08.02 |
무간섭과 경청 그리고 사랑에 관하여 (0) | 2012.08.01 |
무상(無常) (0) | 2012.07.31 |
있음에서 함으로 (0) | 2012.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