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4. 안도감이란 의심의 원인이 제거된 미래 또는 과거의 관념에서 생기는 기쁨이다.

15. 절망감이란 의심의 원인이 제거된 미래 또는 과거의 관념에서 생기는 슬픔이다.

 

해명: 그러므로 사물의 결과에 관하여 의심의 원인이 제거될 때, 희망에서 안도가 그리고 공포에서 절망이 생긴다. 이 원인의 제거는 인간이 과거 또는 미래의 사물을 가까이에 있는 것처럼 포상하여 그것을 현존하는 것으로 고찰하기 때문에 일어나기도 하고, 인간이 자기에게 의심을 야기한 사물의 존재를 배제하는 다른 것을 표상하기 때문에 일어나기도 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개개의 사물의 결과에 대하여 결코 정통할 수 없지만 (제2부 정리 31의 계에 의해),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그것의 결과를 의심하지 않는 일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밝힌 것처럼 (제2부 정리 49의 주석 참조), 어떤 사물에 대해 의심하지 않는 것과 그 사물에 대해 정통한 것은 별 개의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과거 또는 미래의 사물이 심상에 의하여, 현재의 사물의 심상에 의한 것과 같은 기쁨 또는 슬픔의 감정으로 자극받아 변화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이것은 우리가 정리 18에서 증명한 것이다. 그것의 주석도 참조하시라.

 

T1000.0 : 1. 안도감과 절망감은 모두 현재를 비껴서 있다. 때문에 현재에 집중하게 되면 안도감과 절망감을 느끼지 못한다. 2. 안도감과 절망감을 느끼는 것은 사물이나 사태의 결과에 관하여 의심의 원인이 제거될 때인데, 원인의 제거는 그것이 제거되었음을 의심하지 않는 것과 그것에 정통하여 원인의 제거를 확실히 아는 것, 두가지의 경우가 있다. 후자의 경우는 사물의 결과에 정통하므로 즉 그 결과를 필연적으로 파악하고 있으므로 안도감도 절망감도 갖지 않는다. 필연적인 결과에 안도하거나 절망하지 않기 때문.

3. 안도감과 절망감을 느끼지 않는 방법은 1.현재에 집중하는 것과 2.사물을 필연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정통해지는 것. 그리고 1만으로, 2만으로 충분하지 않고 1과 2가 동시에 필요.   

 

 

'스피노자의 <윤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정의 정의: 야심  (0) 2012.12.14
감정의 정의: 후회  (0) 2012.12.14
감정의 정의: 희망과 공포  (0) 2012.12.14
감정의 정의: 기쁨과 슬픔  (0) 2012.12.14
감정의 정의: 욕망  (0) 2012.12.14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