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내가 올바르게 이해한 것이라면, 선생님은 언어에 본질적인 것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해 특별히 발화의 효과들에 주목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언어에 대한 우리의 통상적인 담론에서 우리는 일련의 상호 연관된 행위의 조정들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소통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상징체계들에 준거합니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개념들의 의미(의미론), 단어들 및 문장들의 구조들(어휘론 및 통사론), 그리고 이러한 개념들, 단어들, 문장들의 목적지향적이고 상황구속적인 활용(화용론)입니다. 내 질문을 반복하고 싶군요. 언어에 대한 선생님의 특별한 견해는 무엇입니까?

결정적인 측면은 이것입니다. '이 행위들의 조정의 조정에는 하나의 순환[재귀]이 있다. 이것은 그 이전의 적용의 결과들에 적용되는 주기적인 작동이다.' 내가 언어을 이해하는 데 이 요인이 왜 그렇게 중요할까요? 나의 대답은 이렇습니다. '우리가 하나의 순환[재귀]을 관찰할 수 있을 때마다 무언가 새로운 것이 존재한다. 이러한 종류의 주기적인 작동들이 있을 때마다 새로운 현상들이 존재한다.

순환[재귀]의 이 특별한 효과에 대해서 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해 줄 수 있습니까?

당신이 마치 달리고 있는 것처럼 다리를 움직인다면 당신을 바라보고 있는 어떤 사람도 당신이 지금 달리고 있으며, 움직여 사라지고 있다고 말하지 않을 것입니다. 사람들은 어쩌면 당신이 어떤 팬터마임을 하려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당신이 다리를 움직여 공간을 움직이고 있다면, 누구나 당신이 걷거나 뛰기 시작했다고 인식할 것입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달리기의 현상은 당신의 다리의 주기적인 움직임이 당신의 발이 그 순간에 우연히 딛고 있는 표면의 선형적인 이동에 연결될 때 정확히 발생한다.' 하나의 움직임은 이전의 움직임 위에 구축되고, 다리 움직임들의 단순한 반복은 하나의 순환[재귀]으로 변형됩니다 그리고 하나의 새로운 현상이 출현합니다. 즉 당신이 달리고 있는 현상이 출현하는 것이지요. (함으로 145)

T.

'이 행위들의 조정의 조정에는 하나의 순환[재귀]이 있다. 이것은 그 이전의 적용의 결과들에 적용되는 주기적인 작동이다.'

'우리가 하나의 순환[재귀]을 관찰할 수 있을 때마다 무언가 새로운 것이 존재한다. 이러한 종류의 주기적인 작동들이 있을 때마다 새로운 현상들이 존재한다.'


하나의 움직임은 이전의 움직임 위에 구축되고, 다리 움직임들의 단순한 반복은 하나의 순환[재귀]으로 변형됩니다 그리고 하나의 새로운 현상이 출현합니다. 즉 당신이 달리고 있는 현상이 출현하는 것이지요.
[달리기라는 언어의 출현]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