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그는 도롱뇽이 외부 세계의 벌레를 자신의 혀로 겨눈다는 가정에서 출발했습니다. 그의 물음은, 그레고리 베이트슨이 말했던 바처럼, 하나의 인식론 전체, 특수한 세계관을 함축합니다. 외부의 객체가 그 모양과 위치에 대한 정보의 형태로 도롱뇽의 두뇌 속에서 처리된다는 점이 은연중 당연한 것으로 가정됩니다. 그 결과로 도롱뇽은 실수를 저지릅니다. 도롱뇽은 외부로부터 다가오는 정보를 올바르게 처리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내가 보기에는, 그 실험을 전혀 다른 식으로 해석하는 것이 훨씬 의미 있었습니다. 나는 이렇게 주장할 것입니다. 노롱뇽은 (혀를 움직이고 내뻗는 것으로 이어지는) 자기의 신경체계의 활동들을 망막의 일정 부분의 활동들과 서로 연관시킵니다. 만일 벌레의 영상이 비치면 도롱뇽은 자기의 혀를 내뻗습니다. 도롱뇽은, 자기가 외부적인 관찰자에게 보이는 것처럼, 외부 세계의 벌레를 겨누지 않습니다. 이 경우에 보이는 상관관계는 내적인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보면, 도롱뇽이 자기의 행위를 바꾸지 못하는 것은, 그것이 학습을 하지 못하는 것은, 전혀 놀랄 일이 아닙니다. (함으로 90)
2.
그래서 선생님은 외부 객체가 유기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것을 결정한다고, 그렇게 생각했군요.
바로 그렇습니다. 나는 색채와 비둘기 망막의 활동들 사이의 모호하지 않은 상호관계를 설명할 수 있기를 기대했습니다. 왜냐하면 비교되는 실험들을 통해서 어떤 세포들의 활돌들이 실제로 특정한 모양들과 상호관계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기 때문입니다. 나는 수많은 실험들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내가 예상했던 상호관계를 전혀 확증할 수 없었습니다. 주어진 분관 조성들에 정해진 방식으로 반응할 특정한 세포들이나 세포 그룹들을 발견하는 것은 불가능했습니다. (92)
'마뚜라나 <있음에서 함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중 보기와 환상처럼 보기 (0) | 2020.03.10 |
---|---|
마술적 포획에 대한 깨달음 (0) | 2020.03.08 |
진리의 증거가 아닌 (0) | 2020.03.08 |
증거? 증명? (0) | 2020.03.08 |
미적인 유혹[나는 나이고 싶다. 나의 완성] (0) | 2020.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