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제4부
정리 60. 신체의 모든 부분이 아니라 신체의 일부 또는 몇몇 부분에 관계되는 기쁨 또는 슬픔에서 생기는 욕망은 인간 전체의 이익을 고려하지 않는다.
증명: 예를 들어 신체의 부분 A가 어떤 외부의 원인의 힘에 의해 강화되어서 다른 부분들보다 우세하다고 가정해보자(정리 6에 의해). 이 부분은 그렇다고 해서 신체의 나머지 부분들이 그것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자신의 힘을 감축하려고 노력하지는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런 경우에 그것은 자기의 힘을 감축하는 힘 또는 능력을 가져야만 하는데, 이러한 것은 (제3부 정리 6에 의해) 부조리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 부분은, 따라서 (제3부 정리 7과 12에 의해) 정신도 역시 그 상태를 보존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그런고로 그러한 기쁨의 감정에서 생기는 욕망은 전체를 고려하지 않는다.
그런데 반대로, 만일 A라는 부분이 억제되어 나머지 부분들이 그것보다 우세하다고 가정한다면, 슬픔에서 생기는 욕망도 역시 전체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이 동일한 방식으로 증명된다. Q.E.D
주석: 따라서 기쁨은 대체로 신체의 일부분에만 관계되기 때문에 (정리 44의 주석에 의해), 대개의 경우 우리는 우리의 존재를 보존하기를 바라면서 우리의 전체적인 건강을 고려하지 않는다. 게다가 우리를 가장 많이 지배하는 욕망들은 (정리 9의 계에 의해) 현재만을 고려하고 미래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있다.
T1000.0 : 기쁨의 감정에서 생기는 욕망은 맹목적이다. 미래를 고려하지 않고 오직 현재만을 고려하는 맹목적인 욕망이 향하고 있는 것은 '괴로움'이다. 고苦를 향하는 쾌락을 욕망하는 데에는 무지와 습관 때문이다. 모르기 때문에 쥐가 쥐약을 먹는 것이고 또 알아도 몸에 밴 습관에 못이겨 담배를 끊지 못한다. 담배 피고 싶은 욕망은 몸 전체를 고려하지 않고 또 미래를 고려하지 않는 면에서 맹목적이며 이성에 의하여 담배를 끊는다면 담배피고 싶은 욕망은 이제 쓸모가 없다는 것이 명백하다. 내 경험에 비춰보면 이러한 맹목적인 욕망을 쓸모없게 만들기 위해선 그보다 강한 표상, 이미지를 늘 상기해 유혹에서 벗어나는 게 한 방법이었다.
'스피노자의 <윤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성에서 생기는 욕망 (0) | 2012.12.20 |
---|---|
욕망 내려놓기 (0) | 2012.12.20 |
쓸모없는 욕망 (0) | 2012.12.20 |
자연상태와 국가상태 (0) | 2012.12.20 |
힐링 (0) | 2012.1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