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제2부 정신의 본성 및 기원에 대하여
정의 35. 허위[오류]는 타당하지 않는 관념, 즉 단편적이고 혼란스러운 관념이 포함하는 인식의 결핍에 있다.
증명: 관념 안에서 허위의 형상을 구성하는 아무런 적극적인 것이 없다(정리 33에 의해). 그러나 절대적인 결핍에는 허위가 있을 수 없으며(왜냐하면 그르친다거나 착각한다고 일러지는 것은 정신이지 신체가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절대적인 무지에도 역시 있을 수가 없다. 왜냐하면 무지와 그르치는 것은 서로 다른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허위[오류]는 타당하지 못한 인식, 즉 타당하지 못하며 혼란스러운 관념이 포함하는 인식의 결핍에 있다.Q.E.D
주석: 정리 17의 주석에서 나는 어떤 이유로 오류가 인식의 결핍에 있는지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문제를 좀 더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보겠다. 인간이 스스로를 자유롭다고 생각하는 것은 <즉 자신의 자유의지로 어떤 일을 할 수도 있고 안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 생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견은 단지 그들이 자신들의 행동에 대해서는 의식하면서도 자신들을 결정한 원인들에 대해서는 모른다는 것의 표시이다. 그러므로 그들의 자유의 관념은 단지 자신들의 행동의 원인에 대한 무지일 뿐이다. 그들은, 물론, 인간의 행동은 의지에 의존한다고 말하지만, 그것은 아무런 대응하는 관념이 없는 말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그들 모두는 의지가 무엇인지, 의지가 어떻게 신체를 움직이는지 모르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방법으로 자랑하며 영혼의 안식처를 생각해내는 사람들은 흔히 조소나 구토를 자아낸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태양을 바라볼 때, 그것이 우리로부터 약 200피트 정도 떨어져 있다고 상상한다. 이 오류는 단순하게 태양을 이런 식으로 상상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렇게 하는 동안 태양의 참다운 거리와 이러한 상상의 원인을 모르고 있다는 데에 있다. 왜냐하면 나중에 우리가 태양이 우리로 부터 지구 직경의 600배 이상 떨어져 있음을 알게 된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가까이에 있는 것처럼 상상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태양을 그처럼 가깝게 있는 것으로 상상하는 것은, 우리가 태양의 정확한 거리를 모르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의 신체의 변용은 신체 자체가 태양으로부터 자극받아 변화되는 한에 있어서 태양의 본질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스피노자의 <윤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리가 진리의 기준 (0) | 2012.11.28 |
---|---|
3종의 인식 (0) | 2012.11.28 |
유식과 무명 (0) | 2012.11.27 |
표상에 대하여: 허망 분별 (0) | 2012.11.27 |
일법계 (0) | 2012.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