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대원경지는 성품이 청정한 것,

평등성지는 마음에 병이 없는 것,

묘관찰지는 견해에 내세우지 않는 것,

성소작지는 둥근 거울과 같도다.

몸(5)과 마음(6)과 마나식(7), 아알라야식(8)의 결과와 원인을 굴린 것

이름과 말만 있을뿐 참성품 없네

구르는 곳에 정을 두지 않으면

아무리 번잡해도 큰 고요함이 되리.

 

5,6,7,8식이 뭔지 알지 못해도, 그 이름들을 뭐라해도 좋은데, 중요한 것은 마치 불확실성 원리의 전자의 움직임처럼, 그것들이 어떤 질서로 굴러가는지 모른다는 것이다. 원인들의 질서[인연들의 질서]를 모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우리는 이 모른다에 의해 움직이고 있으니, [숭산스님의 가르침처럼] 나를 굴리는 참나는 이 모른다이다. 그런데 우리의 의식은, 또는 나라고 생각하는 의식은 이 모른다가 굴리는 결과를 의식할 뿐인데도 결과를 원인으로 뒤집어 내가 의식한다라고 착각한다. 이또한 전도몽상인데 이를 바로 알아 "구르는 것에 정을 두지 않으면", 다시말해서 [나의 소견대로 말하면] 모른다가 굴린 결과가 [원인이 아니라] 결과임을 바로 알면 그것이, "아무리 번잡해도 큰 고요함이 되리"라고 한다. 마지막 구절 '큰 고요함이 되리'는 참자유를 얻음을 뜻한다. 한편 양무제가 달마에게 "너는 누구냐?"라고 물었을때 '모르오'라고 한 것은, 진실로 참나는 모른다이기 때문이 아닌가, 또한 이 모른다가 무아(無我)인 것을 여실히 보아야한다. .

'혜능의 <육조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無我  (0) 2012.09.12
항상 즐거운 것[至福]  (0) 2012.09.11
無相에 대하여  (0) 2012.09.10
무심의 공덕  (0) 2012.09.10
육조단경의 게송  (0) 2012.09.09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