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고립된 조종사들의 지각적 한계들을 서술하는 이 관찰자들은 본질적으로 실재론자들이어야 하겠군요. 그들은 조종실에 있는 조종사들에게는 알려져 있지 않은 실재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그들은 실제로 일어난 일을 알고 있습니다.
이 관찰자들이 어떻게 그러한 사실을 알 수 있을까요? 조종사들이 (이중보기를 통해 관찰될 수 있는) 조종석에 앉아 있는 세계를 포함하는 어떤 조종석에 관찰자들 자신이 앉아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말이에요. 그들은 정확히 그러한 상황에 대한 절대적 지식을 지니고 있는 경우에만 지식의 한계들을 진단할 수 있을 뿐입니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그들은 오직 알기의 한계들을 설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필연적인 결과로서, 그들은 자신들이 어떤 객관적인 실재들을 믿고 있는 실재론자들이라고 선언해야만 할 것입니다. 하지만 나는 이 관찰자들이 서로 다른 두 구분 영역들을, 실재 세계가 아닌 그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세계와 비교하고 있다고 주장할 것입니다. 그들은 내부에서 작업하고 있는 조종사들을 볼 때에는 마치 비행기의 내벽에 나 구멍을 통해서 보는 것처럼 봅니다. 반면에 바깥에서 볼 때에는 비행기 전체를 그것의 작동 영역과 관련하여 봅니다.
선생님은, 신경체계가 개방된 체계라는 테제가 관찰자들에 의해 선택된 특수한 전망으로부터 결과한 것이라고 말씀하는 거군요. 그렇지만 신경체계가 패쇄적이고 관찰자의 선택된 관점의 결과가 아니고서는 투입과 산출에 의해서 의미 있게 서술될 수 없다는 게 선생님 주장이 아닌가요? 분명, 이 두 가정들은 동시에 참일 수는 없습니다. 그것들은 본질적으로 모순적이니까요.
사실상, 상이한 서술들을 낳게 마련인 두 개의 서로 다른 관찰 시각들이 존재합니다. 그럼에도, 이 두 생각들이 동등하게 타당한 것은 아닙니다. 만일 우리가 신경체계가 개방된 체계라는 전제를 가지고 신경체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밝혀내고자 한다면, 우리는 오도된 접근법을 선택한 것입니다. 따라서 관찰자들은 그것의 작동 방식이 그것의 투입에 의존하고 있다고 믿을 것입니다. 그들이 환경 속의 외적 자극들로 규정하는 것은 막대한 중요성을 획득할 것이고, 그로인해 그 체계의 내적 동학을 간과하게 될 것이며, 자신들의 서술 영역과 그 체계의 내적 동학을 간과하게 될 것이며, 자신들의 서술영역과 그 체계의 내적 동학의 영역을 혼동하게 될 것입니다. 영역들을 이렇게 혼동하는 것은 신경체계의 작동 방식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제공해 줄 수 없습니다. [스피노자가 '사람들은 신체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지 못한다'고 한 것과 같은 울림]
하지만 우리가 만일 신경체계를 폐쇄적인 네트워크로 바라보게 되면, 우리는 그것의 작동 방식을 이해할 수 있고, 자신의 매개체와 완전히 일치를 이루고 있는 유기체에서 일어나는 구조적 변화들이 어떻게 그것의 신경체계에서의 구조적 변화들을 낳고, 궁극적으로 그것의 행위상의 변화들을 낳는지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더 이상 정보의 흐름에 대해 이야기할 필요가 없고, 그 대신 유기체를 그것이 놓인 환경 속에서 관찰할 때 신경체계의 활동들, 유기체의 몸체와 그 외적 상황들 사이의 이상한 구조적 연동이 세부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자문해 보아야 합니다.
(함으로 104)
그렇다면, 신경체계를 폐쇄적인 체계라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그것은 환경에 대해 완전히 차단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물질과 에너지의 교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만일 이러한 교환이 어떤 이유에서건 실패한다면 유기체는 쇠약해져 사라져 버릴 것입니다. 그래서 외부로부터의 투입은 결코 무시될 수 없습니다. 모든 살아 있는 존재는 필사적으로 그것에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이제 당신은 열역학과 관련된 물리학자처럼 주장하고 있군요. 당연히 유기체의 신경체계는 에너지와 물질의 흐름에 개방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것은 더할 나위 없이 분명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세포들은 죽을 것입니다. 폐쇄(성)는 물리적 개념이 아닙니다. 단지 내적동학의 자기 준거적 작용을 특징지을 뿐입니다. 특정 영역에서 순환[재귀]하는 과정들은 이 영역에 남아 있습니다. 우리는 한 체계의 경계들을 한정하고 그것을 구체적으로 결정된 존재로 만드는 체계의 작동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신경체계의 폐쇄(성)로 내가 의마하는 것은, 그것의 활동 상태들이 언제나 다른 활동 상태들을 낳으며, 다른 활동 상태들에 의해 유발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런 다양한 활동 상태들이 모두 신경 요소들의 네트워크들 내부에 남아 있다는 것입니다. (함으로 105)
'환상처럼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줄타기 곡예 [중도: 여몽환포영] (0) | 2020.04.29 |
---|---|
인지란 무엇인가요? [인지와 중도] (0) | 2020.03.10 |
있음에서 함으로, 볼 때는 봄만이 있다 (0) | 2020.03.10 |
*중도[괄호 친 객관성]를 향한 질문 (0) | 2020.03.05 |
무의식의 정복 (0) | 2019.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