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지식은 지천에 깔렸는데 다만 보지 못할 뿐이라고 하는데, 정말 그렇구나. 매번 보는 글인데도 보이지가 않았다. 쾌락이 욕망의 내재적 과정을 중단한다고 생각했는데, 욕망은 쾌락 속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음을 깨닫는다. 이를 잊지 않기 위해 길지만 깊이 감사하며 글 전체를 인용한다. 인용하는 책은 법륜스님의 (정토출판, 2012)이다. 세상을 물들이는 사람. 첫 번째와 두 번째, 그리고 세 번째 부류의 사람에게는 공통점이 하나 있다. 첫 번째 부류는 바다에 빠지고 싶지 않은데 빠져서 괴로운 사람이고, 두 번째 부류는 바다에 빠지지 않기 위해 방파제를 쌓아놓고 그 안에서 노니는 사람이고, 세 번째 부류는 그 배를 타고 자유로이 놀면서 바다에 빠지지 않는 사람이다. 이 세 부류 사람들 모두 바다에 빠지지 않는 ..
흐름을 붙잡으려 말고[집착] 흐름을 중단시키지 말고[쾌락] 다만 흐르게 하라.[욕망하는 생산]
1. 대상을 본다는 것은 상을 본다는 것이다. 그 상은 마음이 짓는 것이다. 그 상이 마음 밖의 존재[대상]에 있는 것이 아니므로 그 상과 마음은 하나이다. 상을 고집한다는 것은 곧 마음을 고집한다는 것이다. 즉 주체와 대상은 하나다. 존재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사물은 그저 사물일 뿐이다. 상을 짓거나 거부하는 것은 인간의 영역, 마음이다. 존재를 말할 수 있는 자 누구인가?라고 물어라. 2. 마음은 신체의 관념이다. 이 관념이 상인데, 상은 오온과 12처와 18계가 원인과 결과를 이루며 굴러 생기는 결과다. 그런데 우리는, 그것이 어떤 질서로 구르는지 모른다. 우리는 그 굴림의 결과만을 의식한다. 그런데 우리는 결과인 의식을 원인으로 착각한다. 내가 의식한다, 내가 원한다, 내가 한다, 내가 ..
"공덕이 무엇인가?" "태양" "공덕을 쌓는다는 무엇인가?" "복리" "돈오는 무엇인가?" "임계점"
명제 1. [모든 존재는] 공하다. 명제 2. [모든 존재는] 인연이다. 명제 3. [대상과 주체는] 하나이다. 공하다는 것과 인연이다는 것은 서로 충돌하지 않는다. 공하므로 어떤 인연도 가능하다. 원래 정해진 것이 없으니 인연은 무한한 가능성으로 펼쳐질 수 있다. 가령 내 몸은 공하다. 하루동안 나는 집에서는 가족의 인연으로 아빠이고, 직장에서는 직장의 인연으로 사장님이고, 버스를 탔을 때는 손님이고... 등등 나의 몸은 하루에도 여러 인연의 장에 들어서면서 그 인연이 바뀐다. 사람들은 이렇게 다 그 인연을 따라 이룬다. 문제는 인연의 장에 맞게 행동하지 않을 때다. 가령 버스에 타서 사장행세를 한다면 곤혹스럽고, 지하철에 타서 집에서처럼 눕는다면 문제이다. 즉 하나를 고집하고 집착하면 문제가 발생한다..
나는 자유란, 나에게 좋은 것은 하고싶은 대로 하는 것이고, 나에게 나쁜 것은 하고싶어도 하지 않는 것이고 나에게 좋은 것은 하기싫어도 하는 것이고, 나에게 나쁜 것은 하기싫은대로 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러할 때 나는 하고싶다와 하기싫다에 매이지 않기 때문이다. 하고싶다고 반드시 해야하는 것도 아니고 하기싫다고 무조건 하지않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하고싶다와 하기싫다로 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이런 자유는 하고 싶은데 하지 못하는 괴로움이나 하기싫은데 해야하는 괴로움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나는 이것을 삶과 동행하는 자유라고 부르는데, 나는 실로 이렇게 살고 싶다. 다음으로 좋은 것과 나쁜 것을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 이에 대해선 스피노자의 를 탐구할 필요가 있다. 삶과 동행하는 자유가..
1. 모든 것은 변한다. 모든 것은 공(空)하다. 모든 것은 인연이다. 모든 것은 이 세가지를 모두 만족한다. 2. [모든 것에 속하는] 인간은 변한다. [모든 것에 속하는] 인간은 공하다. [모든 것에 속하는] 인간은 인연이다. 인간의 죽음 역시 이 세가지를[변한다, 공하다, 인연이다] 모두 만족한다. 주석: 나는 공하다와 완전하다는 동일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죽음이 공하다는 것은 완전하다는 것이다. 즉 죽음 또한 완전한 것이며 이런 인연에서 저런 인연으로 변함이다. 3. [인간의] 욕망은 변한다. [인간의] 욕망은 공하다. [인간의] 욕망은 인연이다. [인간의] 욕망은 이 세가지를 모두 만족한다. 주석: 욕망은 이 세가지를 모두 만족하면서 동시에 세가지를 생산하는 힘이다. 욕망은 생산이며, 리듬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