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개인적으로 발견한 것으로, 그런 걱정을 덜어주는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이렇게 생각하는 것입니다. 먼저 어떤 상황이나 문제가 해결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라면 그것에 대해 해결책이 있거나 어려움을 벗어날 방법이 있다면, 그 문제로 고통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당신이 해야할 행동은 해결책을 찾는 것뿐입니다. 그 문제로 고민하기보다는 해결책을 찾는 데 힘을 집중하는 것이 훨씬 지혜로운 태도입니다. 이와는 달리 문제의 해결책도 없고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날 방법이 없다면, 그것에 대해 걱정해도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어쨌든 당신은 그 일에 대해 아무것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엔 그 사실을 빨리 받아들이수록 더욱 쉽게 마음이 평화로울 것입니다. 이 원칙은 물론 당신이 직접 문제에 부딪친다는 ..
제3부 감정의 기원과 본성에 관하여 정리 20. 자기가 증오하는 것이 파괴되는 것을 표상하는 사람은 기쁨을 느낄 것이다. 증명: 정신은 (정리 13에 의해) 신체의 활동능력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는 사물의 존재를 배제하는 온갖 것을 표상하려고 노력한다. 즉 (정리 13의 주석에 의해) 정신은 자기가 증오하는 사물의 존재를 배제하는 온갖 적을 표상하려고 노력한다. 따라서 정신이 증오하는 것의 존재를 배제하는 사물의 심상은 정신의 이러한 노력을 촉진한다. 즉, (정리 11의 주석에 의해) 그것은 정신을 기쁨으로 자극하여 변화시킨다. 그러므로 자기가 증오하는 것이 파괴되는 것을 표상하는 사람은 기쁨을 느낄 것이다.Q.E.D T 1000.0 : 우리가 스피노자의 의 기하학적 증명을 통해 명확히 배우는 것은 우리의..
우리에게는 본질적으로 두 종류의 감정 또는 마음의 상태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입니다. 감정들을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긍정적인 감정은 정당화될 수 있지만, 부정적인 감정은 그럴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앞에서 욕망에 대해 얘기하면서, 우리는 어떻게 긍정적인 욕망과 부정적인 욕망이 있을 수 있는지 이야기했습니다. 인간의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욕망은 긍정적인 욕망입니다. 그것은 정당화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 모두는 현재 존재하고 있으며, 또한 생존할 권리가 있다는 사실에 기초한 것입니다. 그리고 생존을 위해서 우리가 필요로 하는 물건들, 다시 말해 꼭 있어야 할 필수품들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종류의 욕망은 정당한 근거가 있는 것입니다. 그..
나병 환자가 끔찍한 모습으로 변하는 것은 직접적으로 살을 썩게 만드는 병원체 때문이 아니라, 팔다리에서 통증의 감각을 잃게 만드는 질병 때문이라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통증이 주는 보호 장치가 없는 나병 환자들은 자신의 세포가 손상을 입고 있다는 경고를 받을 수 없었다. 따라서 브랜드 박사는 나병 환자들이 피부가 까지거나 뼈가 드러난 다리로 걷거나 뛰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렇게 되면 병은 계속 악화될 뿐이다.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그들은 심지어 손을 불 속에 넣어 무언가를 꺼내기도 했다.( p233) 하지만 왜 통증은 그렇듯 고통스러워야만 하는 걸까? 브랜드 박사는 우리가 끔찍하게 싫어하는 통증의 불쾌감 덕분에 우리는 몸에 닥친 위험과 상처에 대해 효과적인 경고를 받고 보호를 할 수 있다고 결론을 ..
제4부 인간의 예속 또는 감정의 힘에 대하여 정리 52. 자기만족은 이성에서 생길 수 있으며, 이성에서 생기는 이 만족만이 존재할 수 있는 최고의 만족이다. 증명: 자기만족은 인간이 자기 자신 및 자신의 활동능력을 고찰하는 것에서 생기는 기쁨이다(감정의 정의 25에 의해). 그러나 인간의 참다운 활동능력 또는 덕은 이성 그 자체이며 (제3부 정리 3에 의해), 인간은 이 이성을 뚜렷하고 명확하게 고찰한다(제2부 정리 40과 43에 의해). 그러므로 자기만족은 이성에서 생긴다. 다음으로, 인간은 자기 자신을 고찰하는 동안 자신의 활동능력에서 생기는 것 이외의 어떠한 것도 뚜렷하고 명확하게, 즉 타당하게 자각하지 않는다(제3부 정의 2에 의해). 다시 말해서 (제3부 정리 3에 의해) 인간은 자기의 인식능력..
제5부 지성의 능력 또는 인간의 자유에 대하여 정리 42. 지복[축복]은 덕의 보수가 아니라 덕 그 자체이다. 우리는 음욕을 억제하기 때문에 지복을 향수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지복을 향수하기 때문에 음욕을 억제할 수 있다. 증명: 지복은 신에 대한 사랑에 있는데 (정리 36과 그것의 주석에 의해), 이 사랑은 제3종의 인식에서 생긴다(정리 32의 계에 의해). 그러므로 이 사랑은 (제3부 정리 59와 정리 3에 의해) 작용하는 한에 있어서의 정신에 돌려져야만 한다. 따라서 (제4부 정의 8에 의해) 그것은 덕 그 자체이다. 이것이 첫 번째 점이었다. 다음으로, 정신은 이 신적 사랑 또는 지복을 보다 많이 향수함에 따라서 그만큼 더 많이 인식한다(정리 32에 의해). 다시 말해서 (정리 3의 계에 의해..
에티카 5부 정리 20. 주석 이것으로 부터 나오는 결론은 이러하다. 즉 자체의 가장 큰 부분이 타당하지 못한 관념들로 구성되어 있는 정신은 가장 수동적이어서, 그것이 작용하는 것보다 그것이 작용받는 것에 의해서 더 많이 식별된다. 이에 반하여 자체의 가장 큰 부분이 타당한 관념들로 구성되어 있는 정신은 가장 능동적이어서, 그것이 비록 다른 정신과 같이 많은 타당하지 못한 관념들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인간의 무능력을 나타내는 타당하지 못한 관념들에 의해서보다 인간의 덕에 속하는 타당한 관념에 의해서 더 많이 식별된다. 또 주의해야 할 다음의 것이 있다. 마음의 병과 불행은 특히 '많은 변화에 종속되는 것이며 우리가 결코 완전히 소유할 수 없는 것'에 대한 과도한 사랑에서 생긴다. 왜냐하면 아무도 자기가 ..
제5부 정리 18. 아무도 신을 미워할 수 없다. 증명: 우리들 안에 있는 신의 관념은 타당하면서도 완전하다(제2부 정리 46과 47에 의해). 그러므로 우리는 신을 고찰하는 한에 있어서 작용한다(제3부 정리 3에 의해). 따라서 (제3부 정리 59에 의해) 신의 관념을 수반하는 어떠한 슬픔도 있을 수 없다. 다시 말해서 (감정의 정의 7에 의해) 아무도 신을 미워할 수 없다. Q.E.D 계: 신에 대한 사랑은 미움으로 변할 수 없다. 주석: 그러나, 다음과 같은 반박이 있을수 있다. 우리가 신을 모든 것의 원인으로 인식하는 한, 바로 이것으로 인해서 우리는 신을 슬픔의 원인으로 여기게 된다. 이에 대해서 나는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 우리가 슬픔의 원인을 인식하는 한에 있어서, 슬픔은 수동이기를 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