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나눌 수 없는 하나를 둘로 나눠 둘이 따로 존재하는 것처럼 대상화, 타자화하며 소외시킨다. 소외는 소유를 유발하는데, 나눌 수 없는 것을 나눈 것이기에 대상도, 타자도, 소외도, 소유도 없고 오직 하나의 흐름, 물결치는 흐름만이 있을 뿐이며 이것이 우리의 삶자체이다. 따라서 우리가 언어를 사용할 때에 언어의 사용을 무분별의 분별이 되도록 해야한다. 언어가 분별할 수 없는 것을 분별하는 것임을 바로 알고 있어야한다. 이러할 때 비로소 언어 역시 흐름임을 깨닫게 된다. 마뚜라나의 통찰이 주목하듯이, 언어는 행위의 조정들의 조정이다. 언어가 출현하는 때는 바로 조정의 조정이 이루어질 때이며 이것이 순환하여 배치를 이루면 대상이 출현한다[이름 붙여진다]. 대상이 먼저 있고 언어가 있는 것이 아니다. 반대..
불교 유식의 가르침을 통해 말하면, 화가가 그림을 그릴 때는 '그린다'만이 있게 된다. 나[인식주관]와 그림[인식대상]이 사라진 그린다의 흐름만 있을때 그림은 예술이 된다. 나는 그림을 그리면서 점점 집중하게 되고 나와 그림이 하나로 통합되면 그린다만이 있게 되는 것인데, 화가 프란시스 베이컨이 "무엇이 그림을 그리는지 모른다"고 했던 말은 이런 차원으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반대로 그림을 그릴 때 그림을 타자화하고 내가 그림을 그린다고 그림과 나를 분별할 때는 기술의 차원을 넘지 못하는 것 같다. 흥미로운 것은 베이컨은 자신의 그림에 연습이란 말을 제목에 붙였는데, 아마도 그는 그림을 통해 그만의 방식으로 수행을 한 것이 아닌가 한다. 화가에게 삶이란 그림을 그리는 것이니 그 자체가 수행이었다. 삶이 곧..
인은 연을 따라 과가 다르며, 이 과는 곧 다음의 인이 된다. 연이 바뀌면 과가 다르겠지만 인의 변화가 없으면 고는 재발된다. 흔히들 문제가 생기면 돌파구로 환경을 바꾸려한다. 학교나 직장을 옮긴다든지. 환경이 바뀌므로 그 과도 달라지겠지만 그러나 문제는 여전히 재발할 소지가 있다. 근본 문제인 인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이 바뀌면 어떤 연을 만나도 이전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니, 문제가 생기면 밖을 보려하지말고 안을 보아야 근본문제가 해결된다.
행行에서는 아와 법의 명확한 분별을 할 수 없고, 식에서만 합니까? 수상행이 순서적으로 어떤 관계를 갖기는 하겠습니다만, 나름대로 특성을 가진 마음작용 중의 하나입니다. 수는 수 나름대로 의意의 분별을 동반하며, 상과 행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와 법의 분별은 식장이 이루어지자마자 작용하고 있습니다. 현행의 식장[眼識 등]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종자로서 '분별의 경향성을 상속'합니다. 아와 법을 분별할 수밖에 없게끔 구조적으로 가꾼 힘을 무명이라고 합니다. 식에 와서 분별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우리 앞에 분별되어서 수상으로' 일어납니다. 근본적인 무명의 힘에 의해서 분별된 식의 흐름으로 볼 수밖에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 힘을 거슬러 올라가면 됩니다. 우리가 마음을 열어 간다는 것, 지켜본다고 하는 말..
한 생각이 일어나고 사라지는 것을 지켜보는 것도 식의 작용입니까? 앞에서 식은 마당이고 마음의 작용인 심소가 그 가운데 활동한다고 했습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무엇이[인식주관], 무엇을[인식대상] 아는 것이 아니라 '이 두가지 관계로 형성된 앎만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무엇이 수나 상이나 행하는 것이 아니고, 그저 수상행만 있을 뿐입니다. 마당을 펴면 그 가운데 저절로 수상이 있게 되는데, 이때 분별의 행으로 가지 않고 수상의 흐름을 지켜보는 것이 수행입니다. 즉 식[마당]에 수상[활동]만 있는 것으로서, 인식주관과 인식객관이 만나서[識] 수상으로 모양을 나타낸 것입니다. 이때 무엇이 있어서 수와 상을 아는 것이 아니라, 수와 상이 저절로 앎으로 나타납니다. 앎[식]은 저절로 아는 것이 속성입..
어떤 현상이 우리의 인식주관과 마주치면[識場] 기분 좋거나, 기분 나쁘거나, 덤덤한 마음이 일어나는 것이 수受입니다. 마주친 내용이 이름과 형태로 구별되는 것이 상想입니다. 이 상태에서 좋은 쪽을 가지려고 하고 나쁜 쪽을 버리려고 하는 것이 행입니다. 이미 드러난 수와 상을 분별하여 가지려고 하거나 버리려고 하면 다음 인식의 장이 결정됩니다[후찰나의 식장]. 인식의 장이 이루어지면 행의 결정에 따라 그 다음 수와 상의 내용이 달라 나타납니다. 식은 낱낱의 마음의 작용[心所]이 아니라 그것들이 활동하는 장[마당, 識場]입니다. 그래서 수행이란 행의 흐름을 닦는 것[修]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204) 덧붙여 나는, 수행, "행의 흐름을 닦는 것"은 행을 떠나 행을 이루는데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스스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