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마다 다르지만 모두가 한가지다.
그러면서도 당신은 자신이 화가로서 특별한 재능이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네,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나는 화가로서 독특한 감각을 가졌고, 그 감각을 통해 이미지들이 내게 전해지고, 나는 그저 그것들을 사용할 뿐이라고 생각합니다.(정육점 310) 2. "나는 허영, 피상성, 질투, 확실성의 유혹들이, 당신이 더 잘 알려지고 갑자기 다른 사람들의 칭송을 받게 될 때 직접적으로 작동한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어쩌면 당신은 아부하는 속성들의 목록을 믿기 시작하고 그에 따라 행동할지도 모릅니다. 특별한 누군가로 간주되는 것은 사로잡힘의 한 형태입니다. 더욱이 다른 사람들이 뭐라뭐라하는 속성들을 자신의 뛰어난 자질들과 동일시하는 사람들은 내가 볼 때 맹목적으로 보입니다. 다른 누군가가 내 안에서 보는 것 - ..
1. 괴로움은 대게 탐진치 3독으로 자초한다. 2. 탐진치는 무지에서 비롯된다.[무지란 무엇인가?] 3. 우리는 사물을 독립된 실체로 체험하는 앎에 관해 한번도 의심한 바가 없다.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4. 즉 너무나 당연해 깨닫기가 어렵다. 5. 탐진치는 독립된 실체로 '나'가 있다는 '당연한' 생각에서 발전한다. 6. 나는 나를 인식한다. 그런데 나는 실체로 존재하지 않는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그렇다! 나는 생각이다. 그러나 나는 실체로 존재하지 않는다.[나는 누구인가?] 6. 잘못 알고 있는 이 무지로 인해 괴로움이 비롯된다. 7. 무지를 무지로 앎으로서 모든 괴로움에서 능히 건널 수 있다. 8. 스피노자는 그가 쓴 의 끝말에서 이렇게 말한다. "그러나 모든 고귀한 것은 어려울..
원리전도몽상 - 눈을 뜨고 꾸는 꿈에서 항상 깨어 있으면
1. 독립된 실체로 존재하는 예쁜 신발은 없다. 2. 객관적으로 예쁜 신발은 없다. 3. 나에게 예뻐보일 뿐이다. 4. 예쁨은 나에게서 나온다. 5. 즉, 신발에 예쁨은 없다. 6. 신발 자체에 예쁨이 없으니 신발에 얻을 것이 없다. 7. 얻을 것이 없는 고로 신발에 집착할 이유가 없다. 8. 신발 소유에 집착하는 건 예쁜 신발이 독립적인 실체로 있다고 잘못 알기 때문이다. 9. 예쁜 신발과 나를 동일시하는 집착은 무지에서 비롯된다. 10. 신발이 예쁘다는 것을 아는 것으로 충분하다. 11. 아무 얻을 것이 없는 고로 무소유/무집착이 가능하다. '무주상보시'하려고 노력할 필요도 없다. [내가 보기에, 예쁜 신발이다. 신발이 예쁘다는 것을 아는 것으로 충분하다. (마음에서 일어나는 내 감정, 내 마음을 아..
1. 독립된 실체로 내가 있다는 생각. 1-1. 여기서부터 괴로움이 비롯된다. 2. 그런데 우리는 나를 독립된 실체로 체험한다. 2-2. 이 체험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2-3. 우리는 이 체험을 통해 감각이 외부 실재를 반영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너무나 당연해 한번도 의심해본적이 없다.] 2-4. 여기서부터 독립된 실체로 내가 있다는 생각이 비롯된다 3. "우리 감각이 원래 그대로의 실재를 반영하지 않는다고요? 그래요.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우리는 결코 알 수 없습니다. 우리가 아는 것이라고는 자극을 받은 우리의 감각이 우리 앞에 펼쳐내 보이는 것뿐입니다. 인식의 입구에서 (인식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소위 세계의 심부름꾼들은 (세계의 다양한 모습들은) 그들 자신의 특별한 속성들을 없애 버렸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