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에서는 현상의 변화 이면에 변화하지 않는 실재로서의 존재를 실체로 여기고, 그것이 진실된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그와 같은 실체로서의 존재는 오직 망념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봅니다. 한 개체로서의 '빔[空]'이 다시 전체의 인연을 나타내면서, 함께 살아가는 무상한 변화가 '실實'이 됩니다. 그래서 실도 아니고 허도 아니라고 합니다[無實無虛]. 서양에서 말하는 현상 너머의 실재가 아니라, 전체를 아우르는 인연의 현상을 진정한 삶으로서의 실實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곧 서양에서는 변화하는 현상의 환幻 너머의 실재를 이야기한다고 한다면, 불교에서는 환 너머의 실재야말로 환도 되지 못한 환이라는 뜻에서 망념에 의한 집착이라고 봅니다. 오히려 환이 환인 줄 알면서 환의 실재성을 놓는 순간..
망념이란 무상한 변화를 놓치고 그 가운데서 언어에 맞는 실재를 구성하고 기억하며, 다음 찰나의 변화를 놓치게 하는 습관적인 생각입니다. 습관이란 뜻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를 보는 것이 아니라 습관이 현재가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삶은 현재를 살지 못한 것입니다. 그 습관이 자아나 자성을 만들고, 다시 자아 관념과 자성이 있다는 생각이 습관을 키워갑니다. 그렇기 때문에 습관적인 앎과 행동에서 벗어나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현재의 인연은 끊임없이 새로운 모습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습관적인 앎과 다르게 창조적인 삶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를 놓치고 지루한 일상을 살고 있습니다. 때문에 일상의 지루함이란 습관적인 업의 관행이 나타난 것이면서 다른 한편 제대로 된 삶을 살라는 신호도 됩..
허망하게 분별하는 마음집착하지 않는 마음. 貪心은 좋아하는 것에 집착하는 마음이고嗔心은 싫어하는 것에 집착하는 마음이고 주어진 인연 따라좋아하는 마음을 내려놓을 수 있으면 머문바 없이 마음을 내는 것이고싫어하는 마음을 내려놓을 수 있으면 머문바 없이 마음을 내는 것이고 하기싫은 것을 하지말아야할때는 말할 것도 없고하고싶어도 하지말아야할 때는 하지 않고하기좋은 것을 해야할 때는 말할 것도 없고하기싫어도 해야할때는 한다면마땅히 머문바 없이 마음을 내는 것이고[응무소주 이생기심]스스로의 자성을 지키지 않고 인연을 따라 이루는 것인데[불수자성 수연성] 탐심과 진심에 머물지 않기 위해선 마땅히 그 마음을 참아야할 것이 아니라 참을 바가 없는 줄을 알아야 그 마음을 단박에 내려놓을 수 있다.탐심과 진심을 완전히 떠..
"우리가 알아야할 것이 삼성이라고해서 변계소집성, 의타기성, 원성실성이라는 것을 알아야 하지만 보다 더 내용적으로는 의타기성을 제대로 샐현해 내야한다. 의타기성을 실현해 내야한다라고 하는 것이 무상속의 인연을 철저히 살고 어떠한 내용도 후찰라까지 남기지 않도록 그자체로 살아야한다. 그러니까 異熟이라고 하는 것은 다음 찰라에 나의 삶을 결정할 수 있는 어떠한 선악업의 행동양식인데 철저히 현재를 산다고 하는 말은 다음 찰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행동양상을 내 안쪽에 남기지 않는다고 하는 말이다 .이것이 육조단경에서는 無念無想으로 이야기 된다. 그래서 무념무상이라고 하는 것은 다음 찰라에 지금은 완벽하니 인연에 살고 있지만 이 인연의 힘이 다음 찰라를 결정하고 있는 어떤 종자세력으로 남아서 다음 인연을 그렇게..
마뚜라나 어떤 강의의 말미에 이런 질문을 받았습니다. "선생님은 신을 믿습니까?" 나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나는 신의 왕국에 살고 있습니다." 질문자가 반복했습니다. "선생님은 신을 믿습니까?" 나는 다시 대답했습니다. "나는 신의 왕국에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그 질문을 다시 한 번 반복했습니다. "다시 한 번 묻겠습니다. 선생님은 신을 믿습니까, 아니면 믿지 않습니까?" 나는 마침내 그에게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만일 내가 그렇다고 대답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다 해도 어쨌든 나를 좋아하겠습니까?" 그의 고집은 차별을 위한 욕망에 기인한 것이었습니다. 푀르크젠 그렇다면 선생님의 대답은 실제로 '신의 존재는 신념의 문제가 아니다'라는 것이군요. 마뚜라나 나는 신을 믿는 사람들이 심각..
"물질을 나눠보니 물질의 가장 작은 특성이 소립자라고 하는데 소립자는 두가지 특성이 있다. 그것이 입자적 형태로 나갈 때는 하나의 입자와 다른 입자의 흐름에 있어서 입자와 입자가 두개가 완벽하니 단절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입자 상태로 보이면 물질이 斷 상태가 된다. 그런데 동시에 그 입자가 파동형태로 보인다. 전자라고 하는 입자가 한 공간 사이에 홀로 존재하면 그것이 홀로 존재해 있는 것처럼 斷見처럼 보이는데 그것이 특수한 상황에는 물결파처럼 보이는데 물결파라는 것은 연속을 말한다. 그것은 常見이 된다. 지금 물질이라고 하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 보면 시공간에서 연속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고 어떤 상태에서는 시공간에서 단절되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단절되어 있으면서 항상하고 항상하면서 단절되어 있는 이..